'김혁규'문제가 이렇게도 시끄러워야 할 이유가 없다.
아마도 그 발단은 여권의 성급한 재.보선 '올인'전략의 노출-부산.경남 필승을 통한 노무현 대통령의 전국정당화 염원, 그리고 조건반사적인 한나라당의 '김혁규 증오심'의 충돌인 것 같다.
그래서 지방선거가 국지전(局地戰)이 아닌 전면전(全面戰)으로 확대돼가는 그 한복판에 전 경남도지사-야당으로선 배신자요 노 대통령으로선 귀인(貴人)인 김혁규씨가 서있게 된 것이다.
문제는 이 논쟁이 여전히 구태(舊態)라는 데에 있다.
본란은 '김혁규 총리 지명의 조건'으로 청와대와 한나라당 양측에 할 말이 있다.
노 대통령과 여당은 첫째, '지방선거는 지방선거일 뿐'이라고 다짐해야 한다.
이미 17대 국회의 절반을 차지한 마당에 지자체장마저 다 먹어야 국정운영에 차질이 없을 것처럼 '올인'하는 태도는 과욕이다.
승부욕이다.
그 '지나침'에서, 청와대는 6.5 재보선 종료때까지 꼭꼭 숨겨놔도 될 '김혁규 총리'를 흘려 '증오심'을 자초했다.
둘째, 노 대통령이 김혁규씨를 내세우고 싶다면 발표 전에 빨리 '김혁규 검증작업'을 철저히 하라는 것이다.
그도 재산이 많다.
'컴컴한 구석'이 있을 수도 있다.
세번이나 지사를 했지만 지사와 총리의 자격요건은 엄연히 다른 것이다.
더구나 여당내 소장파들까지 김혁규카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만에 하나, 잘못되면 본인도 망신이요 대통령도 망신이다.
DJ시절, 총리지명을 받고도 낙마한 두분 장씨의 경험을 기억해내자는 뜻이다.
한나라당에도 당연히 할 말이 있다.
셋째, '배신자론'은 김혁규 반대론으론 약하다.
당을 버렸다고 배신이면 한나라당엔 민주당.자민련에서 건너온 숱한 배신자들이 있다.
'배신'이 정치의 정도(正道)는 분명 아니지만, 이 논리에만 매달리면 이 역시 현실집착이지 미래지향이 아니다.
따라서 '김혁규 총리'에 반대한다면 청문회를 통해 '총리자격 미달'을 검증해 보이면 되는 것이다.
'김혁규 죽이겠다' 난리쳐 놓고 시시한 청문회로 끝내면 이 또한 한나라당의 망신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