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선 이부영의원 후원금 복지시설 기부

'후원금 쓱싹' 관행 달라지나?

개정된 정치자금법에 따라 17대 총선 낙선자들이 남은 후원금 관리에 고심하고 있다.

개정된 정치자금법에 따르면 낙선한 국회의원은 임기 만료와 함께 후원회를 해산하고 자신의 후원회 및 의원 계좌에서 남은 돈을 정당과 공익법인 등에 기부하거나 기일 내 청산하지 못하면 전액 국고에 귀속된다. 그러나 끼워맞추기식 회계로 남은 후원금을 전용하는 게 지금까지의 관행이어서 낙선자들이 여분의 후원금 처리에 적잖은 고심을 하고 있는 것.

관행대로라면 낙선자 대부분은 편법 회계처리를 통해 채무변제 등 개인 용도로 남은 후원금을 사용했고 기부행위는 현재까지 단 한 차례도 알려지지 않았다. 오히려 낙선자들의 남은 후원금 처리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위로차원의 유일한 배려라며 '쉬쉬'해 오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관행 속에서 열린우리당 이부영(李富榮) 낙선자가 26일 후원금 전액을 복지시설에 기부하고 나서 정치권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이 의원은 26일 "'국회의원 이부영 후원회' 잔여금 9천900여만원 중 6천400만원을 고(故) 장준하 선생, 제정구 의원, 박종철 열사 기념사업회와 장애인 시설에 기부하겠다"고 밝혔고 "남은 3천500만원은 정치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은행 채무를 청산하는데 사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비례대표 후보직을 사퇴하고 국회 입성을 포기한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도 최근 남은 후원금을 후원자들에게 돌려주겠다는 의사를 밝혔었다.

한편 일부 의원들은 지난 17대 경북 문경.예천에서 출마해 고배를 마신 신영국(申榮國) 의원의 경우처럼 아예 후원회를 만들지 않고 의정활동을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권자들이 깨끗한 이미지를 선호하고 있고 복잡한 회계 작업을 꺼려하는 정치인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