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 서게 되어 기쁘군요.
It's/my pleasure/to be here.
[→이쯔/마이 플레주어/
투비 히어어쮬]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이 저에게는 기쁨입니다" 혹은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이 영광입니다"와 같은 말은 그 사람을 예의바른 사람으로 보이게 해준다.
It's는 원래 '잇스'이지만 약간만 힘을 주어도 '이쯔'가 된다.
Pleasure를 '프레져'라고 발음하지 말것. L과 R은 다른 발음이다.
L은 '을'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을'+'프레주어'='플레주어'인 것이다.
"이 자리에 서게 되어 영광입니다"라고 한다면 "It's my honor to be here!"라고도 한다.
H가 단어의 첫 글자일 때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
honest를 '아네슷'이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Be는 존재를 의미한다.
지금 이 자리에 존재하는 것 즉,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을 의미한다.
here는 '히여'가 아니라 '히어어'이다.
그래서 Come here! 할 때에 한국인들은 '캄히여' '미레도'라고 하지만 미국인들은 '카미어어' '도파미미'라고 하는 것이다.
지난 회 정답:It's a piece of cake.
▲퀴즈:다음 기회에 하시죠.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