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빌 게이츠라도 한국선 성공 힘들다"

대표적인 벤처기업가인 안철수(42) 사장이 불법복

제가 판치고 경쟁력없는 기업이 퇴출되지 않고 공공자금 등 이른바 '눈먼 돈'으로

연명해나가는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구조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안 사장은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는 컴퓨터보안업체 안철수연구소[053800] 홈페

이지(www.ahnlab.com)에 지난 2일자로 게재한 '이만 불 시대를 위한 두 가지 키워드'

라는 제하의 장문의 칼럼에서 이처럼 주장했다.

안 사장은 이 칼럼에서 전국민적으로 '소프트웨어는 공짜'라는 인식이 바뀌고

있지 않고 학생들이 가정이나 학교에서 소프트웨어를 불법복제하는 관행이 근절되지

않는 한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미래는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이 대기업 계열의 SI(시스템통합)업체들에 의해 주도

되기 때문에 중소업체들의 시장 경쟁력이나 가격 결정능력이 떨어지면서 국내 업체

들의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안 사장은 대형 SI업체는 저가 수주로 인한 손실을 계열사 시스템 관리사

업으로 보전하고 공공기관에서는 저가 입찰을 요구하는 현 상황에서는 빌 게이츠(마

이크로스포트 회장)가 한국에 와서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성공하기 힘들다는 게 모든

IT(정보기술)종사자들이 공감하는 바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공공기관이 양질의 전산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치중하기보

다는 예산절감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어 국내 지식정보산업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

고 있다고 비판했다.

안 사장은 "경쟁력이 없어 망해야 할 기업들이 여러가지 명목의 공공자금으로

수명을 연장한 뒤 현금 마련을 위해 덤핑을 하는 현상이 벌어지면서 산업의 하향평

준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안 사장은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1만불 수준까지 빠르게 도달할 수 있게

만든 두 가지 키워드는 제조업과 위험 감수(risk taking)였을 것이지만 앞으로 이만

불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전혀 다른 키워드가 요구된다"면서 "그것은 지식정보

산업과 위험관리(risk management)"라고 말했다.

그는 "지식정보산업은 기존의 제조업에 부가가치를 더해서 이미 앞서가기 시작

한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서, 그리고 노동집약적 산업특성을 잘 이용한다면 아주 작

은 규모의 산업 육성으로도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

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성수대교 붕괴의 예를 보더라도, 이제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앞으로 나

아가기에는 우리의 산업규모가 너무나 커져버렸다. 다리를 만들어서 사용하기만 하

고 또 다시 다른 다리를 만드는 데만 급급한 나머지 최소한의 관리나 점검을 소홀히

하다보면, 장기적으로 엄청나게 큰 손해를 가져올 수 있다"면서 "위험관리는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제조, 금융, 정책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필수적인 하나의 시스템으로 자리잡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