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간첩 民主운동'파문 擴散 막아야

2기 '의문사위원회'가 남파간첩과 빨치산에 대해 민주화운동관련 의문사로 인정한 파문이 일파만파로 퍼져나가면서 자칫 이념논쟁의 사회혼란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화보상위원회(약칭)가 이와 유사한 '간첩 2명'에 대해 민주화운동 기여자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결정을 내린건 '논란의 종지부'가 될 명쾌한 판단으로 여겨진다.

물론 두 케이스가 사안은 약간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2기 의문사위'는 간첩을 '민주화운동 기여자'로 봤고 민주화보상위원회는 "간첩은 우리의 헌정질서를 파괴하려는 자이기에 '민주투사'가 될 수 없다"면서 결론적으로 의문위의 결정을 반박하는 모양새가 됐다.

누가봐도 타당한 법해석이다.

그에 반해 의문사위는 그 범위을 넓혀 민주화의 개념을 통상의 '인권'에까지 확대해석함으로써 빚어진 것이다.

따라서 양기관의 태생이 과거 권위주의 정권아래에서 민주화 투쟁을 하다 숨져간 사람들의 의문사를 밝히는데 그치고 그게 민주화운동으로 보상까지 받을 수 있는지에 있는만큼 그 취지에 맞게 활동하는 것으로 그쳐야 한다.

문제는 '의문사위'의 월권적 행위로 성우회(星友會)의 항의성 방문을 받았고 '간첩 민주투사' 결정을 '환영한다'는 논평을 낸 민노당 당사엔 대한상이군경회원 30여명이 몰려가 기물을 부수는 등의 폭력성 항의까지 야기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열린 우리당 신기남 의장은 교포들로부터 계란세례를 받기도 했다.

그 뿐아니라 지금 국민들의 분노가 어느정도인지는 네티즌들의 항의문에서 알 수있듯이 고조돼 자칫 우리 사회가 극단의 혼란으로 치달을 수 있음을 정부는 직시, 발빠른 대책이 요구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