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이전 독자 대안 내겠다"

한나라, 10억 들여 연구용역 추진

한나라당이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자적인 용역을 추진키로 했다.

국회 내 '수도이전 특위' 구성과 수도이전 용역비의 추경예산 반영이 불발에 그치자 당비를 모아 외부기관에 용역을 의뢰키로 한 것이다.

◇용역비 10억원=용역비는 대략 10억원 안팎으로 전해졌다.

10억원은 빠듯한 야당 살림으로 적지 않은 액수다.

의원들이 자비를 털 가능성이 희박한 데다 예전처럼 기업의 협찬을 받을 수도 없다.

당 수도이전 대책특위 최경환(崔炅煥) 간사는 "10억원은 나름대로 따져보고 결정한 용역비"라며 "모금운동을 해서라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야당이 큰 마음을 먹었지만 가용자금인 당 정책개발비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어디서 짜내야 할지 걱정"이라고 했다.

용역 기관은 현재 국내외 컨설턴트를 총 망라, 의사를 타진 중이며 공신력을 갖춘 전문기관에 의뢰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의장은 "외국 업체에게 용역을 맡기기 위해선 최소 50억원의 비용이 든다"고 말해 사실상 국내 업체에 맡길 뜻임을 내비쳤다.

◇용역 내용은 뭘까=수도이전 대안 마련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당 정책위는 대략 3, 4가지 가이드라인을 마련, 이미 용역 기관 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이전을 반대할 경우 어떤 대안을 내놓을지에 대한 검토, 수도이전을 전제로 수십조원에 이르는 이전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모색하자는 것이 이번 용역의 기본 골격이라는 게 당 정책위의 설명이다.

또 수도이전 기간과 시기를 수정하는 방법과 이전 방법과 장소를 객관적으로 재평가하는 방안도 담고 있다는 것.

이 의장은 "이번 용역작업의 핵심은 당내 찬반 당론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대안을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중심"이라고 강조했다.

◇용역 결과 발표=용역 기간은 2, 3달은 족히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당론 결정 시기도 용역 결과 발표와 함께 늦춰지게 됐다.

최경환 의원은 "두세 달은 기다려 달라"며 "(수도이전을 두고)여러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비주류를 중심으로 행정수도 반대서명 작업에 착수하는 등 당내 논란이 커지고 있어 거액이 드는 용역작업을 두고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편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