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 앞날에 대한 해법을 놓고 중앙과 지방이 '대립의 각'을 세우고 있는 것은 지역 경제로서는 큰 손실이다.
'협력과 화합'이 절실한 시점인데 중앙과 지방의 손발이 서로 맞지 않으면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 건너 간 것 아닌가. 결론부터 얘기하면 이미 '발을 깊숙이 들여놓은' 지금 시점에서 밀라노프로젝트의 가치판단 논쟁은 무의미하다.
양 측에 벌어진 간극(間隙)이 있다면 서둘러 봉합부터 하는 것이 옳다.
지역 경제를 담보로 논리 싸움하는 어리석음을 계속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패션어패럴밸리 조성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산업연구원(KIET)의 최근 분석에 지역 섬유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나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미 '포스트 밀라노'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제 와서 '출발이 잘못됐다'며 원론적인 문제로 제동을 거는 것은 실기(失期)해도 한참이나 실기한 어눌한 행동이다.
물론 이번 발표가 정부의 '지역 경제 죽이기'로 보이지는 않는다.
지역의 진정한 신(新)산업 조성을 위한 고언(苦言)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중앙의 시각과 지방의 시각은 분명 다르다.
더구나 현 정부는 지역혁신(RIS)을 입버릇처럼 되풀이하고 있지 않은가. 지역에서 상향식(bottom up)으로 올라온 지역 역량 사업을 중앙의 입장에서 난도질한다면 과연 지역 혁신의 본질은 무엇인지 되묻고 싶다.
더구나 이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보고서가 지난해 10월에 나왔는데도이제야 밝혀진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이미 패션어패럴밸리에는 국비 700억원이 지원된 상태다.
경제 정책에도 흐름이 있다.
지역의 역량이 충분히 결집된 사업인만큼 정부는 부정(否定)보다는 긍정적인 대안을 찾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순리임을 다시 한번 강조해 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