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성진 부방위장 발탁 배경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해서 수락했다.

"

전격사퇴한 이남주 전 위원장의 후임으로 내정된 정성진(鄭城鎭) 전 국민대총장은 "아직 임명장을 받지못했다"면서도 부패방지위원회의 달라진 역할과 위상을 조심스럽게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지난 주 상당한 격식을 갖춘 제의가 있어서 고심했다"는 것이다.

정 전 총장이 발탁된 것은 신설되는 '고위공직자 비리조사처'를 산하에 두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직접 챙기겠다고 밝힌 '부패척결과 공직사정'의 핵심기구로 바뀐 부방위를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높이 산 것으로 보인다.

실제 청와대 주변에서는 민변출신 한 인사가 부방위원장에 오를 것이라는 소문이 유력했다.

그러나 신설되는 비리조사처를 산하에 거느리게 되면서 공직감시활동 등의 '시민운동'차원에서 부패척결의 최전선으로 바뀌게 된 부패방지위원회를 실질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검찰과의 협력관계가 필수적이라 판단, 대구지검장과 대검중수부장 등 검찰내 주요보직을 두루 거친 정 전 국민대총장을 기용하게 된 것이다.

정 신임 위원장도 "검찰과 감사원 등 공직사정 관련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검찰출신이라는 점이 우선적인 발탁배경이라는 관측을 뒷받침했다.

부방위의 향후 활동방향에 대해 정 위원장은 "오늘 부방위사람들로부터 간략하게 업무를 보고받았지만 아직 정식 취임하지 않았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검찰재직시절 재산공개파동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것이 부방위원장으로서 맞지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청와대는 "재산문제로 부패하지 않았고 단지 돈이 많은 것이 죄는 아니다"며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나섰다.

정 위원장도 "재산은 문제없었지만 당시 몸을 사리는 (검찰)분위기가 실망스러워 용퇴하는 결단을 내렸다"고 설명하면서 "오히려 대학교수에 이어 총장까지 하는 등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대총장시절 전임교원을 25%, 교육시설을 40%확충하면서도 수백억원대를 적립하는 등 건실재정을 유지하고 학내분규도 잠재우는 등 성공한 CEO총장으로도 평가받았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