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량강도
김형직군 월탄리에서 지난 8일 밤 대규모 폭발이 있었다고 북한 사정에 정통한 복수
의 국내외 소식통들이 12일 밝혔다.
북한 사정에 밝은 중국의 한 소식통은 "중국 국경과 가까운 김형직군에서 지난
8일 밤 엄청난 규모의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당초 폭발이 9일 오전 11시께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폭발
로 인한 거대한 연기가 위성에 포착된 시각인 것으로 보이며 8일 밤 11시30분께와 9
일 새벽 1시께 등 두 차례 폭발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징후가 인근 국가에서 관측
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폭발 규모가 룡천역 사고 때보다 더 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
폭발 흔적이 인공위성에 포착돼 미국 등 주변국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폭발 원인과 피해규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미국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의 대규모 폭발설에 대해 들었
다면서 이것이 "핵실험 같지는 않지만 재해인지 사고인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
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북한 량강도에서 일어난 폭발이 핵폭발이나 핵실험 때문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지만(pretty sure)" 아직 폭발의 실체에 대한 구체적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국과 중국의 정보소식통들도 량강도 대규모 폭발설을 확인했다. 특히 한 소식
통은 "직경 3.5㎞ 정도로 버섯구름 형태의 연기가 피어오른 것이 인근 국가 지진당
국에 의해 관측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번 폭발이 의도적인 핵실험은 아닌 것 같다"면서 "다만 현지 군
수공장의 폭약이나 무기고가 터진 게 아닌가 추측된다"고 전했다. 그는 "핵실험은
아닌 것 같으나 그렇다고 단순한 폭발사고만도 아닌 것 같다"면서 폭발 지점은 로동
미사일 기지가 있는 영저리와 멀지 않은 곳"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폭발 지점 인근에서 최근 대포동 미사일을 운반하는 트레일러가 발
견됐다는 정보가 있다고 밝혀 이번 폭발이 미사일 관련 사고일 가능성도 있음을 시
사했다.
그러나 이 소식통은 군수공장 폭발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면서 폭발 지역 인근
에 북한의 병기연구소가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다른 북한 소식통도 "최근 중국 국경 부근인 북한 량강도에서 발생한 대
규모 폭발에 대해 들었다"고 말했고, 베이징(北京) 주재 한 주변국 관계자도 "량강
도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다는 얘기가 있어 관련국들이 정확한 경위와 원인을 추
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폭발이 일어났다면 정치적 배경이 있는 것이지 아니
면 단순한 사고인지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말해 김형직군 일대가 군사시설
이란 점에 주목했다.
한편 이번 사고를 둘러싸고 발생 시점과 장소, 핵실험 의혹 등 여러 가지 분석
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시기가 공화국 창건일 직전이라는 점에서 단순 사고가 아니라는 쪽에 무게
가 실리고 있으며, 국제사회에 모종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과시용이거나 그에
준하는 의도적 행위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핵실험이라면 중국 국경과 가까운 김형직군을 택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단순 사고이거나 사고를 위장된 일종의 제스처라는 관측도 있다.
다만 미국 정보당국이 대형 버섯구름이 피어올랐다는 소식통의 전언을 부인하고
있고 량강도와 접경인 중국 린장(臨江)시 등지에서 이를 봤다는 목격자가 아직 나오
지 않고 있는 점은 직경 3.5㎞ 이상이었다는 버섯구름 이야기가 과장됐을 수도 있음
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국의 과거 핵 실험 문제가 이슈화된 상황이란 배경 아래 이에 대응한 북측의
위장 폭발일 가능성과 함께 반(反) 김정일 세력에 의한 무장 폭동 등 다양한 가능성
도 점쳐지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는 북한 량강도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는 보도와 관련, 12
일 현재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폭발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핵실험과 관련된 것인지에 대해 가장 예민하게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6자회담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에서 핵
과 관련된 비상사태가 발생했다면 당연히 극도의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중국 당국은 교착상태에 빠진 제4차 북핵 관련 6자회담을 성사시키
기 위해 리창춘(李長春) 당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난 10일 평양에 보내 회담에 불참
하겠다고 버티는 북한 지도자들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원래 지명이 후창(厚昌)인 김형직군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지린(吉
林)성 린장(臨江)시 일부 지역과 접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우리 정보 당국은
김형직군의 산악지대인 영저리에 로동1, 2호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기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