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축제시즌을 맞아 대학가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지만 취업난 등으로 학생참여가 갈수록 떨어지고 애써 준비한 행사들이 조기에 끝나는 경우도 많은 때문.
21일 오후 1시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총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 등 각종 동아리 사무실들이 자리잡고 있는 바우어관을 중심으로 여러가지 행사가 열렸다.
남녀 커플이 신문지를 절반으로 계속 접어가며 그 위에 오래 버티기를 하는 '사랑은 신문지를 타고', 금붕어 옮기기 등 행사가 1시간 간격으로 열릴 예정이었으나 참여 학생이 없어 행사마다 20∼30분을 못 넘겼다.
경영학부 3년 김지훈(25)씨는 "저학년 학생은 가끔 관심을 보이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축제에서 멀어진다"면서 "취업난이 심한 데다 요즘은 끼리끼리 문화가 대세여서 함께 어울리는 단체행사는 별 관심을 끌지 못한다"고 했다.
학생들이 그나마 붐빈 곳은 무료로 음료수를 먹을 수 있는 녹차 시음회장과 맥주 시음회장. 영문학부 2학년 이모(21)씨는 "대학생이 된 후 두번째 가을 축제를 맞지만 학생눈길을 잡을 수 있는 행사가 별로 없어 행사장을 그냥 스쳐 지나갈 뿐"이라고 했다.
축제 준비위 관계자는 "가을 축제는 각 동아리와 단과대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여서 봄 축제보다 규모가 떨어지는 탓도 있지만 학생참여가 너무 저조하다"며 "인기가수를 초청하는 행사만 반짝 인기를 끌 뿐"이라 했다.
다른 대학들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대구대도 21일부터 10일간 축제를 열고 있지만 행사장마다 학생들의 호응도가 낮기는 마찬가지며 영남대는 이번주에 단과대별로 2일간만 축제를 연다.
특히 본격 취업시즌이 시작돼 신경이 곤두선 취업 준비생을 의식, 행사 규모가 갈수록 축소되는 분위기라고 학교 관계자들은 이야기하고 있다.
영남대 관계자는 "축제 자체가 학술제 위주로 열려 캠퍼스 내에서 '축제' 분위기를 찾기 어렵다"며 "취업시즌이 겹쳐 취업 준비생들을 의식, 규모가 크거나 시끄러운 행사를 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