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1월 중 대구경북 생산 증가

11월 중 대구경북지역 생산이 지난해 11월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 경북통계사무소에 따르면 11월 중 대구지역의 생산은 자동차, 기계장비, 고무 및 플라스틱 등의 증가에 따라 지난해 11월보다 4.9% 증가했고 출하도 4.0% 늘어났다.

경북지역의 생산은 전자부품 및 영상음향통신, 제1차금속, 사무회계용 기계 등의 증가로 지난해 11월보다 14.2% 증가했고 출하는 17.3% 늘어났다.

11월 중 재고는 대구가 지난해 11월보다 5.8% 감소한 반면 경북은 12.2% 증가했다.

대구지역의 11월 중 생산과 출하는 10월보다 각각 6.0%, 6.6% 늘어났고 재고는 0.2% 증가했다. 경북지역의 11월 중 생산과 출하는 각각 1.3%, 1.2% 증가했고 재고는 0.7% 늘어났다.

11월 중 건설발주액은 대구가 4천343억원으로 지난해 11월에 비해 131.1%, 10월 보다는 68.5% 증가했으며 경북이 5천506억원으로 지난해 11월보다 114.6% 증가한 반면 10월에 비해 33.5% 감소했다.

한편 수출 호조로 산업생산이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이 면서 경기지표가 다소 호전됐지만 경기선행지수가 8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국내 경 기 회복 전망이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표적인 내수지표인 도소매판매가 5개월 연속 감소하고 건설경기를 나타내 는 건설수주도 1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내수와 건설경기 부진이 여전해 경 기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생산은 반도 체와 자동차 등의 수출호조로 작년 같은 달 보다 10.1%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지난 9월 9.5%, 10월 5.8% 등으로 2개월 연속 한자릿수 증가율을 보 이다 3개월만에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자동차, 영상음향통신이 각각 28.7%, 20.8%, 17.1%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사무회계용기계와 섬유제품은 각각 8.9%, 6.8%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은 21.9% 증가해 2개월만에 20%대 증가율을 회복했고, 내수출하도 1. 4% 증가하면서 3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수출과 생산이 반짝 증가하면서 설비투자도 작년 같은 달에 비해 3.1% 늘며 3개 월만에 증가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달 0.1 포인트 상승해 8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경기회복의 최대 관건인 소비와 건설 경기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대표적인 내수지표인 도소매 판매는 백화점 매출(-10.5%) 감소 등의 영향으로 1. 3% 줄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또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난 10월 32.1%의 증가율을 보였던 국내 건설수주가 지 난달에는 1.8% 감소하며 감소세로 돌아섰고, 국내건설기성도 3.5% 증가하는데 그쳐 올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기회복의 관건인 내수와 건설 분야 부진이 이어지면서 향후의 경기전환 시기 를 예고하는 선행지수도 전년 동월비 0.3%포인트 하락했다.

이밖에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82.0%로 2개월 연속 80%대를 유지했으나 생산능력 지수는 4.4% 증가하는데 그쳐 지난 4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11월 산업생산과 출하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수출 이 20% 이상 증가하는 등 호조를 보인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경기종합지수 순환변동치가 8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으나 추세 적인 변화인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설비투자가 3개월만에 증가세로 반 전됐지만 작년 같은 달이 워낙 나빴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 다.

김지석기자jiseo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