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간 30만명 관광객 놓쳐…책임론 대두

태권도 공원의 경주 유치가 무산되면서 책임론이 일고 있다.

태권도 공원은 1천6백억원 이상이 투자되는 대규모 국책사업. 세계 2백여개국에서 연간 30여만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어 지역민들의 기대가 컸다.

그러다 보니 경주 유치 실패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그 책임론의 한 가운데에는 경주시의 홍보 부족, 정치적 역량의 한계를 드러낸 지역 정치권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한나라당 임인배 경북도당 위원장은 "무주는 홍보에 전력 투구했다"며 "그러나 경주는 유치 운동을 하면서 도당위원장과 면담 한번 하지 않는 등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지역 행정 운영을 비판했다.

정치권에 대해서도 "지난 한해 동안 지역 현안이 되기보다 안된 때가 더 많은 등 정치적 역량이 결집되지 않았다"며 "이번 기회에 지역 정치권에도 변화가 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이번 사업 무산은 경주시장에 일차적 책임이 있고, 해당 지역구 의원과 도당위원장 순으로 문제된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이강철 전 국민운동본부장도 "경주시가 지역 출신의 한 평가위원의 사퇴에 대해 정부의 압력이 있었다고 주장, 사실을 확인해보니 해당 평가위원이 형평성을 위해 자진 사퇴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핵심을 못 짚어내고 이런 일을 방관한 경주시나 해당 지역구 의원의 책임이 크다"고 했다.

한편 경주는 침울한 분위기에 빠졌다.

특히 태권도공원 경주유치추진위원회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한 심사결과에 승복할수 없다"며 법적대응도 불사하겠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1차 심사결과 경주가 1위를 차지했으며 2차 심사 항목에서도 결코 다른 지역에 뒤지지 않았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정치권이 개입해 무주와 춘천이 태권도공원과 동계올림픽 유치권을 하나씩 나눠 갖는 이른바 '빅딜'이 현실화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치위 부위원장인 정길상 동국대 교수는 "심사와 관련한 일체의 서류 등에 대해 증거보전신청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심을 요청한는 등 법적 투쟁 방안을 모색중"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유치위는 30일 경주시청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추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시 관계자들도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해당 자치단체장들과의 약속과는 별개로 상식선에서 납득할 수 없는 결과가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법적대응이 불가피하다며 시민단체들과 같은 반응을 보여 태권도공원 유치 무산에 따른 후유증이 2005년 새해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박정출. 박상전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