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정(聯政)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노무현 대통령의 느닷없는 발언이 정치권을 들쑤셨다. 야당은 무슨 생뚱맞은 소리냐, 누구한테 책임 전가하려는 것이냐고 맞받았다. 지금 시중의 화제는 온통 부동산과 군대 얘기, 골프 총리 얘기에 굴뚝산업이고 첨단산업이고 중국에 다 뺏겨간다는 걱정과 불만인데 뜬금없이 대통령이 정치판 뒤집는 얘길 꺼냈으니 주제가 틀려도 단단히 틀린 것이다.
노 대통령은 여소야대에서 법안 통과가 어려운 상황을 '비상 사태'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그 비상 사태를 제도의 탓, 수(數) 부족의 탓으로 포장하고 현 정치판의 틀을 바꾸는 방식으로 난국을 돌파하겠다는 구상이라면 논리의 비약이 심하다. 목수가 연장을 나무라는 것이야말로 논리의 비약이다.
과반에서 겨우 4석 모자라는 여소야대지만 다수당은 엄연히 열린우리당이다. 대통령과 여당은 4'30 재'보선에서 왜 완패했나. 총기 난사는 왜 터졌나, 제도 때문인가. 부동산 파동은 왜 생겼나. 투기꾼 때문인가, 정책 미스 때문인가. 행정수도 '위헌'은 야당 때문인가. 충청도가 등 돌린 것은 또 누구 탓인가. 검'경 마찰, 비정규직을 둘러싼 해답 없는 노사정 갈등은 여소야대 때문인가, 여권 내부의 견해 충돌 때문인가.
국정 운용 능력의 문제, 자세의 문제를 구조적 문제로 포장해서는 설득력이 없다. 세상이 시끄럽자 청와대 측의 해명인 즉 그냥 한 번 해봤다는 투인데, 이 문제는 궁극적으로 개헌론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치고 빠지기식으로 끄집어낼 사안이 아니다. 국방장관 하나 살리자고 자존심까지 꺾은 게 정치라면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은 큰 공부한 셈이다. 그렇게 야당과 대화하고 타협할 일이지 국민이 만들어준 정치 구도를 함부로 뒤집을 일이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