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발명가 닐스 구스타프 달렌은 항해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가스등의 자동태양 밸브 장치(솔벤틸)를 발명했다.
솔벤틸은 햇빛이 있고 없음에 따라 새벽에는 꺼지고 저녁이나 어두울 때 자동적으로 켜지는 발명품이다. 그 편리성은 바다에 띄우는 부표나 무인 등대에 응용돼 전 세계적으로 퍼졌다. 이 공로로 191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도 했다.
발명가로서 그의 연구는 계속됐다. 가스와 터빈을 연구해 열 공기 터빈기관과 드 라발(de Laval) 증기 터빈을 편리하게 개량했다. 아세틸렌을 흡수하는 아가마산(Agamassan)을 발명해 폭발위험 없이 가스를 농축시킬 수 있는 길도 열었다. 1913년 실험 도중 폭발사고로 장님이 됐지만 연구를 계속했다.
그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많다. 역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가운데 샤를 에두아 기욤·프리츠 제르니케와 더불어 최악의 3인 중 1명으로 뽑혔을 정도. '활발해진 해상교통을 안전하게 만든 공로'가 선정이유였다는데 '팔이 안으로 굽었다'는 얘기도 있었다. '노벨상의 이데올로기' 시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1905년 장경·김마리아, 캘리포니아에서 대동교육회 조직 ▲1997년 남·북한·미국·중국 4자회담 첫 본회담, 제네바서 개최.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축의금' 논란 최민희,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깨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