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사망에 따른 자진사퇴 압력에 맞서온 허준영(52) 경찰청장이 취임 11개월 만인 29일 결국 사표를 제출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농민 사망 조사결과 발표가 있은 지 사흘 만에,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이틀 만에 사퇴 뜻을 밝힌 것이다.
◆사표 배경=허 청장은 28일 밤까지만 해도 "결코 사퇴 불가라는 입장을 번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농민단체와 야당, 심지어 여당인 열린우리당까지 자신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서자 생각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나라당이 '장외투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여당은 예산안 처리,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 등 처리를 위해선 야당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민주노동당이 의사일정 협력의 전제조건으로 '경찰청장 탄핵'을 내세운 것이 결정타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물 밀듯 밀려드는 압박에다 '인권경찰'을 표방한 경찰 운영의 큰 그림이 농민사망이라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지자 밤샘 고민 끝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과 수사권을 놓고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경찰 총수로서 자리를 고집하는 게 장기적으로 조직 전체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계산도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허 청장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청장이 물러날 사안은 아니라는 판단에는 변함없다"며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 "새해에는 목소리 큰 사람이 국민의 고막을 찢는 일은 없길 바란다"며 불편한 심기도 숨기지 않았다.
어쨌든 경찰은 집회에 참가했던 농민의 사망으로 경찰청장과 서울경찰청장 등 핵심 수뇌부 2명이 모두 옷을 벗는 위기에 몰린 셈이 됐다.
◆파장=경찰 창설 60주년에 맞춰 취임한 허 청장이 경찰의 숙원이었던 검·경 수사권 조정에 '올인'하다시피했던 점을 감안할 때 사표 제출에 대한 경찰의 우려는 매우 깊을 수밖에 없다.
수사권 조정이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어떤 방향으로든 결론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후임 청장이 허 청장의 공백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을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허 청장이 조직 내부에서 신망이 두터웠고 이를 기반으로 역대 어느 청장보다 경찰 입장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강하게 냈다는 점에서 그의 '불명예 퇴진'에 따른 경찰의 실망감은 그래서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