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기업 30% "벌어서 이자도 못 갚아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해 국내 기업 10개 가운데 3개는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입으로 이자도 갚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환율 급락과 유가 급등으로 은행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금리마저 오르면서 금융비용은 늘어났기 때문으로, 앞으로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업체를 제외한 상장법인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넘지 못한 기업의 비율은 전체의 30.8%로 전년(26.4%)에 비해 4.4%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9년의 35.6%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환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금융비용이 지난해 소폭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자보상비율이란 영업이익과 이자수익의 합을 금융비용으로 나눈 것인데, 100%를 넘지 못한다는 것은 기업의 수입으로 빌린 돈의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의 비율은 지난 1996년에는 25.0%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 당시인 97~99년에는 각각 34.2%, 45.2%, 35.6%에 달하며 기업 수익성이 최악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 2000년 27.1%로 급격히 떨어진 뒤 2001년 30.2%로 다소 높아졌으나 2002년 29.4%, 2003년 28.6%, 2004년 26.4% 등으로 계속 낮아졌다.

한은은 지난해 원·달러 환율 하락,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적자기업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취약기업의 비중도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