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혁신도시, 주변 여건 준비도 중요

대구 신서동 혁신도시 '기본구상 연구 착수' 보고회가 9일 열렸다. 지난 2월 개최된 건설교통부의 '건설 보고회'를 통해 전국 혁신도시의 개발 방향이 제시됨에 따라 대구권의 개별 건설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의미하는 행사로 이해된다. 이 기본구상 연구가 오는 9월까지 마무리되면 내년 5월까지 개발 계획이 확정되고, 뒤따라 실시 계획을 만들어 이르면 내년 말 기반공사에 들어가 그 3년 이내에 주요 기관들이 입주를 마치도록 계획돼 있다.

신서동 132만 평을 부지로 한 대구 혁신도시 건설은 주요 공공기관 12개를 이전시키는, 상징적 국토 균형 발전 정책의 첫 실행이라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생활'환경 양면에서 사람살이에 매우 바람직한 소도시의 전형을 하나 만드는 일이라는 점에서 혁신도시 건설은 그 점 못잖은 기대를 모아 왔다. 자족적 도시로서 필요한 교육'여가'문화'생활 시설을 완비하는 것은 물론 녹색도시를 표방할 만큼 자연적으로 꾸미면서 청정에너지를 쓰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새 소도시가 건설되기도 전에 대구 신서지구는 이미 초고층 난개발로 포위되고 있다는 우려가 9일 보고회에서 나왔다. 예정지의 남쪽 일부 준주거지와 상업지구의 용적률이 1천300%에 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반 시민들이 인근 지역에 진작부터 불어닥친 투기바람을 걱정해 온 것과 맥을 같이하는 듯싶다. 거기다 도심과의 연결성이 떨어져 교통 면에서도 매우 힘든 상황에 빠졌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그동안 임대주택 비율 낮추기 등 혁신도시 내부 계획 개선에 주로 매달려오던 대구시로 하여금 그 주변 여건 조성에 못잖은 노력을 집중해야 할 것임을 일깨우는 지적들이다. 대구시는 서둘러 주변 여건 정지 작업에 나서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