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동북공정 연구물' 검토후 외교대응 방침

정부는 5일 중국이 동북공정 신간을 통해 발해를 당(唐)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등 고대사를 왜곡한 데 대해 고구려사 연구재단 등 학술단체의 검토결과가 나오는 대로 외교적 대응을 해나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고구려사의 경우 우리 역사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부분 중 하나이고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그동안 외교적으로나 학술적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해온 기조에 따라 이번에도 같은 대응을 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학술단체의 검토결과가 나온 뒤 정부의 대응조치 내용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만 역사관련 문제가 국민정서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신중한대응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른바 '동북공정' 문제가 발생한 2004년부터 중국측에 고구려사 왜곡 내용에 대한 시정을 강력히 요청했고 실제로 많은 성과를 얻었으며 학술적으로도 ' 고구려사 연구재단'을 2004년 4월 발족시켜 꾸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시도인 '동북공정'등에대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을 마련하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동북아역사재단'을 설립키로 했으며 지난 5월 국회에서 설치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2006년9월 1일자로 동북아역사재단 초대 이사장에 서울대학교 김용덕(金容德) 교수를 임명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함에 따라 고구려사 연구재단은 해산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