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생산인구인 25∼54세 인구가 거의 정점에 도달해 곧 내리막길로 들어서게 된다.
20일 통계청과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생산가능 인구인 15∼64세는 올해 3천471만 5천300명에서 매년 늘어나 10년 뒤인 2016년에 3천619만 명으로 최고점에 도달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입사·퇴직 연령 등을 감안한 실질적 생산연령인 25∼54세는 2006년 2천373만 6천900명, 2007년 2천396만 2천400명, 2008년 2천410만 9천400명에 이어 2009년 2천415만 9천100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
이 연령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49.2%, 2007년 49.5%에 이어 2008년 49.6%로 정점을 찍은 뒤 다음연도부터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실질적 생산인구 비중은 50%에도 이르지 못하고 2007∼2008년에 정점에 도달한 뒤 하강길에 들어선다.
중장기적으로 25∼55세 인구(비중)는 2015년 2천311만 1천 명(46.9%), 2020년 2천217만 3천400명(45.0%), 2025년 2천104만 3천500명(42.9%), 2030년 1천920만 100명(39. 5%) 등으로 빠르게 줄어든다.
그러나 정년연장 등을 통해 실질적인 생산인구 연령이 5년정도 연장된다면 2030년까지 매년 200만∼400만 명의 인력확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5∼59세 인구 추이는 2006년 234만 3천800명, 2008년 249만 7천600명, 2010년 280만 5천200명, 2020년 407만 명, 2030년 408만 7천300명 등으로 매년 늘어나기 때문이다.
정년이 10년 정도 연장되면 해마다 400만∼800만 명의 추가 인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55∼64세 인구는 2006년 426만 8천300명, 2007년 436만 6천500명, 2008년 451만 300명, 2010년 499만 1천900명, 2020년 778만 1천400명, 2030년 801만 2천500명 등으로 증가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