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실질생산인구 정점에 도달…곧 내리막길

실질적인 생산인구인 25∼54세 인구가 거의 정점에 도달해 곧 내리막길로 들어서게 된다.

20일 통계청과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생산가능 인구인 15∼64세는 올해 3천471만 5천300명에서 매년 늘어나 10년 뒤인 2016년에 3천619만 명으로 최고점에 도달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입사·퇴직 연령 등을 감안한 실질적 생산연령인 25∼54세는 2006년 2천373만 6천900명, 2007년 2천396만 2천400명, 2008년 2천410만 9천400명에 이어 2009년 2천415만 9천100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

이 연령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49.2%, 2007년 49.5%에 이어 2008년 49.6%로 정점을 찍은 뒤 다음연도부터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실질적 생산인구 비중은 50%에도 이르지 못하고 2007∼2008년에 정점에 도달한 뒤 하강길에 들어선다.

중장기적으로 25∼55세 인구(비중)는 2015년 2천311만 1천 명(46.9%), 2020년 2천217만 3천400명(45.0%), 2025년 2천104만 3천500명(42.9%), 2030년 1천920만 100명(39. 5%) 등으로 빠르게 줄어든다.

그러나 정년연장 등을 통해 실질적인 생산인구 연령이 5년정도 연장된다면 2030년까지 매년 200만∼400만 명의 인력확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5∼59세 인구 추이는 2006년 234만 3천800명, 2008년 249만 7천600명, 2010년 280만 5천200명, 2020년 407만 명, 2030년 408만 7천300명 등으로 매년 늘어나기 때문이다.

정년이 10년 정도 연장되면 해마다 400만∼800만 명의 추가 인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55∼64세 인구는 2006년 426만 8천300명, 2007년 436만 6천500명, 2008년 451만 300명, 2010년 499만 1천900명, 2020년 778만 1천400명, 2030년 801만 2천500명 등으로 증가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