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大選(대선) 경선 주자 간의 검증 논란이 자칫 상대를 중상모략하는 네거티브 공세로 번질까 우려된다. 주자의 검증은 필요하지만 '서로 헐뜯기'식 공방으로 自中之亂(자중지란)을 일으킨다면 서로 상처만 입을 게 뻔하다. 반드시 자제돼야만 한다.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법률특보인 정인봉 변호사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財産(재산) 형성 과정과 道德性(도덕성) 문제를 공개하려 했다. 즉각 이 전 시장의 비서실장인 주호영 의원은 '김대업 수법'이라고 맞받았다. 보기 민망하기는 양측 다 마찬가지다. 여'야 간도 아닌 집안싸움이라서 더욱 그렇다.
한나라당 지도부의 판단에 따라 정 변호사가 일단 그 시기를 늦추기로 했으나 추후 어떤 방식으로든 공개할 뜻을 내비쳐 그 불씨는 여전히 안고 있는 셈이다. 더구나 경선 준비기구의 검증 작업 진행 推移(추이)에 따라 공개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한 상황이기도 하다.
박 전 대표는 '나와 우리 캠프의 생각이 전혀 아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런 일이 자제되지 않으면 의구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 전 서울시장 측도 박 전 대표는 빠지고 측근들이 총대를 메는 식의 전형적 '치고 빠지기' 공세라고 했으나 맞불 작전으로 나간다면 얻을 게 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대선 주자의 政策(정책) 공약과 자질, 도덕성 등을 검증하는 건 필수다.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검증이 철저할수록 좋다. 하지만 검증은 당내 경선 과정에서 이뤄질 수 있으며, 그 절차를 거쳐도 국민의 검증을 다시 거치게 돼 있다. 한나라당은 黨(당) 주도로 객관적인 잣대로 후보 검증을 제대로 하고, '제 살 뜯기'식 공세로 상처를 만들지 않는 경선, 그 후유증이 없게 하는 지혜를 짜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