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이 지역에 들어설 집단에너지시설인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둘러싸고 인근 5개 아파트 주민들과 공사 주최인 대구도시가스 측이 첨예하게 대립해 있다. 주민들은 발전소가 아파트 단지로부터 170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며 건설 전면 백지화나 이전을 주장하고 있고, 도시가스측은 정상절차에 의한 사업인만큼 공사를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15일에는 대구도시가스가 공사를 강행하면서 회사직원과 용역직원을 동원해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는 주민 200여 명과 몸싸움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 주민들이 부상을 입고 병원에 치료 중인 등 사태가 계속 악화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주민대표와 도시가스측의 입장을 들어봤다.
◎ 정진수 주민반대위원장…"환경영향평가부터 하자"
주민들의 피해가 우려되는데도 의견을 제대로 묻지 않고 열병합 발전소 공사를 강행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 이곳의 5개 아파트 주민들은 오직 하나 '이곳에 열병합 발전소가 들어와선 안 된다'는 대의로 뭉쳐 결사 반대하고 있다.
전체 주민 협의가 안된 부분도 있어 주민들의 입장을 일목요연하게 말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이곳에 열병합 발전소를 절대 건립해선 안 된다는 건 공통된 입장이다. 애초 발전소 예정 부지는 공원·주택부지였는데 지난 2004년 10월 산업자원부가 난데없이 열병합 발전소 건설 허가를 내주면서 용도변경됐다. 그 과정에서 주민 의견은 단 한 차례도 수렴하지 않았고, 달성군청 역시 주민 공람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다.
열병합발전소가 들어서면 굴뚝이 5개가 세워진다는데 아파트 단지와 고작 150m 밖에 안 떨어져 있어 직접적인 피해가 올 것은 너무나 자명한 일이다. 열병합발전소 반경 1km 이내에는 분진이나 유독가스가 들어온다는데 앞으로 이곳 주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됐다. 죽곡 1지구에 학교도 들어오고 어린이 공원도 발전소 주변에 생긴다는데 어떻게 아이들을 마음 놓고 내보내겠느냐.
이 때문에 주민들은 피해가 우려되는 분진, 유독가스 등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라도 받아보자고 요구하고 있다. 대구도시가스 측에서 천연가스(LNG)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무공해라 주장하며 환경영향평가를 받을 필요도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고 있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공사를 잠정 중단하고 환경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 대구도시가스 측은 공사를 진행하면서 환경영향평가를 받아보자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는데 나중에 '건물을 다 지었는데 이제 와서 어떡하겠느냐'고 하면 방법이 없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 김종술 죽곡열병합 발전소 사업단장…"무조건 안된다" 이해 못해
죽곡지대에 건설 예정인 열병합 발전소는 정부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과 분산형 전력 정책이 결합된 사업으로 객관적인 법적 절차를 거쳐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일반 화력발전소의 에너지 효율성이 33%인 것에 비해 88%까지 상향조정되는 열병합 발전소 사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연구 결과 열병합 발전은 천연가스로 에너지를 생산해 낸 후 폐열을 이용, 에너지 효율을 88%까지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천연연료가 부족한 한국의 상황에 딱 맞아떨어지는 발전 방법으로 인정됐다. 또 열병합 발전의 연료가 천연가스일 경우 환경 오염이 거의 없다는 것도 이미 몇 차례 실험을 통해 검증됐다. 주민들이 주장하는 분진과 가스냄새가 난다는 것은 기존의 열병합 발전소에서 사용했던 경유나 벙커 C유 때문이다. 이번에 건립되는 열병합 발전소는 가스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으로 기름을 전혀 사용할 수 없다.
발전소 이전을 주장하고 있는 주민들의 입장은 정부의 분산형 전력 정책과도 배치된다. 정부는 현재 전국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20개 이상의 택지개발에 에너지 자체 생산이 가능한 소규모 발전소 건립을 권장하고 있다. 외곽지에 대규모 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송전소를 둬야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도 떨어지기 때문. 도시가스로서는 열병합 발전소의 혜택을 주변 입주민들이 받을 수 없는 것은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아무런 피해도 없는 발전소 건립을 무조건 막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시가스는 내년 1월 완공예정인 한라하우젠트 아파트의 에너지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생길 역민원을 대비, 18일까지 주민과의 대화와 설득작업을 거친 후 다음 주 내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정현미기자 bor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북측 체제 존중…흡수통일·적대행위 안 해"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