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0만 가구' 허와 실] "쥐꼬리 보상금 어떡하라고"

개발예정 그린벨트 주민들 "쫓겨나면 어디로…"

▲ 국민임대아파트 건설이 계획된 대구 북구 도남지구 주민들이 향후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 국민임대아파트 건설이 계획된 대구 북구 도남지구 주민들이 향후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또다시 희생양이 될 순 없습니다."

국민임대주택 단지가 들어서는 그린벨트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주민들은 '쥐꼬리'만한 토지 보상비를 받고서는 새로운 삶의 터전을 일굴 수도, 생계를 이어갈 수단도 없다고 하소연했다. 국책사업의 경우 오랜 개발 규제 때문에 인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싼 공시지가로 보상을 하기 때문.

북구 도남지구에서 만난 한 주민은 "자식 공부시키느라 땅을 팔아버리고, 남은 땅으로 농사를 짓고 사는데 여기서 쫓겨나면 기댈 곳이 없다. 농사를 지어 한 달에 100만 원 정도라도 만들었는데 이곳에서 쫓겨나면 어디서 뭘하고 살아야 하느냐."고 했다.

그들이 털어놓는 심정은 절박했다. 땅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는데 정부에 땅을 수용당하면 한푼도 쥐지 못한 채 고향마저 잃게 될 것이란 불안감에 떠는 주민들도 있었다. 또 토지소유자의 60% 정도가 외지인이어서 이들의 배만 불리게 된다는 얘기도 나왔다.

실제로 도남지구와 대곡2지구의 경우 국민임대주택 건립 계획이 발표되면서 땅 매매도 자취를 감췄다. 부동산 관계자는 "도남지구의 경우 평당 40만 원 정도하던 땅값이 오히려 떨어져 30만 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했다.

오히려 개발예정지구 경계선 바깥 토지는 같은 그린벨트인데도 땅값이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동근(56) 씨는 "보상금으로 대토(代土)를 해야 하는데 주변 땅값이 올라 걱정"이라고 했다.

반면에 빨리 개발되길 바라는 주민들도 있다. 여기에는 지난 30여 년간 개발 규제의 서러움이 깔려 있다. 대곡2지구에서 만난 김순영(가명·여) 씨는 "개발이 무산되면 또다시 그린벨트로 묶여 팔리지도 않는 땅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 그나마 보상금이라도 받고 떠나고 싶다."고 했다.

최두성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