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서 박근혜 후보는 또 다른 승자가 됐다. 그의 경선 패배는 너무도 아쉬운 결과일 수 있다. 2004년 3월 당 대표로 취임하여 불법 대선자금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나락에 빠진 당을 구해낸 것이 그였다. 대선까지 자신의 손으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집념이 없을 수 없었다. 黨心(당심)도 그런 박 후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경선은 '경제회생과 사회통합의 추진력 있는 지도자' 이명박을 선택했다.
박 후보는 당을 살려냈을 뿐 아니라 깨끗한 경선 승복으로 정당사를 새로 쓴 지도자로 기억되게 됐다. 지금까지 자신의 역할을 십분 다해냈다. 그러나 그에게는 아직도 남은 과제가 있다. 당과 다수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여 정권을 재창출하는 일이다. 그는 경선 패배를 선언하며 "나를 도왔던 그 마음으로 정권 창출에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 그의 지지자 58%가 이 후보를 지원하겠다는 여론조사도 있었다. 그런 여망을 제대로 읽고 받드는 것이 박 후보에게 주어진 소명이다.
'대선의 중심 역할' 즉 선대위원장을 흔쾌히 받아들이는 것이 그 단초를 여는 길이다. 두 사람은 경선 과정에서 지독하게 싸웠다. 그러나 국민의 뜻은 시종일관 누가 이기든 합심하여 정권을 창출하라는 것이었다. 이런 열망과 기대를 생각한다면 박 후보는 대선의 중심 역할을 피해갈 수 없다.
이 후보에 대한 정치적 빚도 없지 않다. 본선 필패 후보, 사퇴해야 할 후보로 몰아세운 것은 한나라당에 대한 자해행위였다. 박 후보는 그 상처를 스스로 치유해야 할 책임이 있다. 과열 경선이 뿌려놓은 수많은 함정과 속박들을 되메우고 풀어내야 한다. 그에게는 아직도 많은 기회가 남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