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의원들의 내년 총선 공천은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누가 얼마만큼 표를 얻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선후보가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에서 박 전 대표 측 의원들의 '능력'을 높이 산데 이어 이방호 사무총장도 취임 일성에서 대선기여도를 총선 공천 잣대로 삼겠다고 밝히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는 일단 대선후보 경선 후 점증하고 있는 박 전 대표 측 의원들의 공천 불안감을 해소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친이(親李·친 이명박)쪽 의원들에게는 "단지 이 후보 쪽에 줄을 섰다는 이유로 공천에서 혜택을 볼 생각은 말라."는 압력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측 의원들은 대부분 크게 나쁘지 않다는 반응이다. 친박(親朴·친 박근혜) 의원들은 수적인 열세에도 불구, 지난 경선 선거인단 선거에서 이 후보 쪽을 눌렀기 때문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당위원장으로 친박인 박종근(달서갑) 의원은 10일 "나쁠 것이 전혀 없다."면서 "CEO출신인 이 후보가 업적 평가를 중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재원(군위·의성·청송) 의원도 "당연한 얘기"라면서 "공정하게만 한다면 아무 문제없다."고 말했다.
친박 쪽에는 그러나 경계의 목소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선 기여도를 공천 잣대로 삼는다는데는 반대할 명분은 없지만 자칫 내년 총선 공천에서 친박 의원 제거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친박 측 한 의원은 "사실 공천에서 탈락시키려면 '대선 기여도'만큼 확실한 명분이 어딨느냐."면서 "객관적인 룰을 어떤 식으로 만드는지 두고 볼 일"이라고 했다.
이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의원들이 지역구 활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과정에서 경선 때 생긴 상처도 치유할 수 있다."면서 "서울에서 공중전을 하고 나머지는 지역에서 지상전을 해야지 모두가 서울에 몰려있는 것은 표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주호영 비서실 부실장도 "(친이든 친박이든)대선승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챙기자는 것"이라며 "지난 2002년 대선 때같이 의원들이 중앙당 주변에 머무는 것을 반성하고 성과로 (의원들을)평가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10일부터 매달 234개 지역구에 대한 대선후보 지지도 여론조사를 실시해 비교, 평가하고 그 결과를 내년 총선 공천에 반영키로 했다.
이상곤기자 lees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