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시중에서 거래되는 금값이 '금값'이다.
국제 시세가 오르기 때문인 데 미국 선물거래소에서의 금 선물가격도 최근 폭등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인 금값이 오르면 증시가 맥을 못춘다는 분석이 일반적이어서 주식 투자자들의 가슴이 오그라들고 있다.
주가가 폭락한 10일 낮 대구 중구 동아쇼핑 1층 귀금속 매장의 관계자들은 불과 한 달새 금값이 뜀박질을 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거래된 금 1돈(3.75g)의 기준 가격은 8만 8천220원. 지난달 10일(8만 2천390원)에 비해 한 달새 무려 7%나 뛰었다. 지난해 같은 시기(2006년 9월 12일, 7만 4천500원)와 비교할 때는 18.4%나 오른 것.
금값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4월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인 뒤 주식시장이 급상승을 나타낸 6월엔 하락세를 보이다 7월 이후 소폭 상승기를 거쳐 주가가 급락한 지난달 중순 이후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동아쇼핑 귀금속 매장 한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아무래도 금값이 오르면 부담스러워할 것"이라며 "최근들어 갑자기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고 했다.
금 선물가격이 급등하면서 현물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카고선물거래소(CBOT)에서 7일(현지시간) 거래된 금 선물가격은 온스당 700달러를 돌파했다. 이날 금 선물가격은 전날보다 5.60달러(0.81%) 오른 온스당 700.10달러를 기록했다.
6일(현지시간) 거래된 금 선물가격도 전날보다 13.60달러(2.00%) 오른 온스당 694.50달러를 나타냈다.
지난해 9월 6일 시카고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된 금 선물가격은 온스당 633.40달러였고, 1년전인 2005년 9월 6일엔 448.60달러로 최근 금 선물가격이 급상승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금값의 상승은 국내 증시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안전자산을 대표하는 동시에 투자자산이 되고 있는 금값이 오르면 증시에 큰 조정신호가 올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대우증권 이경수 애널리스트가 7월말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금값이 안정세를 나타낸다면 추세적 상승을 즐길 수 있지만 금값이 본격적 상승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 이는 조정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특히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금값 뿐 아니라 은값도 최근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전세계적 '실물 선호 현상'이 커지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