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또 다른 의혹 보탠 '신정아 사건' 搜査

신정아 씨가 어제 귀국했다. 지난 7월 미국으로 떠난 뒤 두 달 만의 자진 입국이다. 그녀는 공항에서 바로 체포돼 검찰 조사를 받았다.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도 이날 검찰에 자진 출두해 조사를 받았다.

사건의 주인공과 핵심 연루자가 검찰의 직접 조사를 받기 시작했으니 머잖아 전모가 밝혀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하지만 같은 날 신 씨가 자진 귀국하고 변 전 실장이 자진 출두해서 검찰 조사에 응한 사실에서 의구심을 사고 있다. 어떤 필부라도 사전 각본에 의한 것이 아닌지,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을 가질 만하다.

검찰의 냉철함이 요구된다. 이른바 속전속결식 수사로 사건을 조기 종결하려는 생각은 금물이다. 사건 초기 늑장 대응과 대비될 뿐 아니라 사건이 간단하지가 않다. 의혹은 신 씨의 학력 위조, 동국대 교수 임용, 2007 광주비엔날레 총감독 선임 등 초기 상황에서 훨씬 더 복잡하게 발전해서 눈덩이처럼 커졌다.

일정 부분 드러난 변 전 실장의 연루사실을 기초로 신 씨와의 부적절한 관계, 불법적 배후 지원의 실상을 밝혀야 한다. 또 정'관계를 비롯, 문화'종교'교육'경제계 등 다방면으로 얽히고 설킨 신 씨의 인적 네트워크와 스캔들을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검찰은 특히 변 전 실장보다 더 윗선이 연루돼 있다는 야당의 주장과 시중 소문들을 주목해야 한다. 강력한 의지가 있다면 의혹을 밝혀내지 못할 이유가 없다. 정치권은 여야 공히 검찰 수사가 미진할 경우 특검 또는 국정조사를 공언하고 있다. 검찰은 명예를 회복하고 사회의 냉소적 분위기를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인가. 국민이 주시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