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와 함께-박소유 作 '백지 한 장'

서랍장을 정리하는데 접힌 백지 한 장 나온다

펴 보니 아무 글자도 없다

바닥 깊이 백지 한 장을 감추고 싶던

그때가 언제였는지

다글다글 싸놓았던 상처난 말들이 사라지고 없다

서랍은 백지 한 장을 가슴 밑바닥에 깔아두고

한때 나무였을 때, 꽃 피웠던 그 순간을 기억한다면

무슨 말이라도 쓰고 싶지 않았을까

어떤 말들이 저절로 쓰여지고 지워질 동안

오래 달가락거렸을 텐데

봄여름가을겨울, 내 허물이 쌓여만 갔다

바닥까지 손이 닿지 않았다

벌써 버려야 할 것들이었다

펼쳐진 백지 한 장

바닥까지 감추고 싶던 내 마음, 다시 접는다

상처 난 말들은 내 옷에 스며들어

그 옷을 입을 때마다 나를 건드릴 것이나

마음은 고요해지겠다

좀약 싸두었던 종이 한 장, 이리 깨끗한 걸 보니

한밤중 쩡쩡 가구들 몸 뒤트는 소리가 심심해서 켜는 기지개인 줄 알았다네, 이 시를 읽기 전에는. 그렇구나. 가구도 한때는 나무였구나. 잎 내밀고 꽃 피웠던 한 그루 나무. 성장통을 앓았던 젊음의 신열과 방황, 그때를 기억하는 나무들의 중얼거림. 그것이 가구의 척추를 삐꺽거리게 만들었다 그 말이지.

하긴 우리도 한때 꽃 시절이 있었지. 백지처럼 순결했던 영혼, 거기에 하루치의 허물과 상처를 기록하며 지새웠던 젊은 시절. 그 허물과 상처의 무게 때문에 우리의 눈빛이 이만큼이나 이슥해질 수 있었으니. 이를테면 허물과 상처가 좀약이 되어주었다는 말씀. 한 가지 우리가 기억할 일은 순결 강박은 윤리가 될지언정 좋은 예술이 되기 힘든다는 사실. 장옥관(시인)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