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21일 오전 7시쯤 대구시 수성구 고모동 113의 3 대구시 장묘운영센터(화장장). 이른 시각임에도 운구차 10여 대가 꼬리를 물고 서 있었다. 발인은 아침 일찍 해야한다는 장묘 문화에다 선착순으로 화장 순서가 정해지는 장묘센터의 운영 방식 탓에 운구차 기사들이 새벽 3시부터 대기하는 등 서두르기 때문. 현재 대구시 장묘운영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화장로는 총 11기. 오전 7시 30분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센터에 12번째 이후 도착하는 운구차는 9시 30분이나 돼서야 화장할 수 있다.
해가 갈수록 화장 인구가 늘고 있지만 좀처럼 바뀌지 않는 '새벽밥 발인' 관습 및 부족한 화장 시설 때문에 망자들은 죽어서도 '선착순'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대구 장묘센터가 화장예약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 '화장 전쟁'에 숨통이 트일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대구시 장묘센터는 오는 11월부터 화장예약제를 시범 실시한 뒤 효과가 좋을 경우 내년 1월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는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하는데 따른 고인에 대한 결례 및 유족들의 시간 낭비 등을 막기 위한 것. 이와 함께 화장로 교체 등 화장 시설을 현대화하고, 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혐오시설로 인식돼 있는 화장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기 위해 주변을 공원화하는 사업도 검토하고 있다. 김상열 대구시 장묘운영센터장은 "1986년 6월 화장로를 9기로 증설한 뒤 올 8월 다시 2기를 추가 설치하면서 예약제를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전예약제를 실시하더라도 사정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른 시간에 발인하는 유교적 관습이 사라지지 않는 한 화장예약제를 도입하더라도 화장 시간을 오전으로 잡으려는 싸움이 치열해질 수 있다는 것. 실제 이미 사전예약제를 시행하고 있는 수도권 일부 장묘센터의 경우 오전 시간대에 화장 예약을 하려는 이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센터 서버가 다운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 선착순 경쟁이 장묘운영센터에서 인터넷으로 옮아갔을 뿐 크게 바뀐 게 없다는 지적이다.
또 11기뿐인 대구의 화장로 부족문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다. 부산 영락공원 및 인천 가족공원 장묘센터는 각각 15기가 운용되고 있다. 김상열 센터장은 "늘어나는 화장률과 다른 도시의 화장로 시설에 비하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김희곤 서라벌대 풍수명리과 교수는 "서울 등 화장예약제가 이미 시행되고 있는 곳의 경우 화장 시간을 굳이 이른 오전으로 고집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대구도 화장예약제가 정착되면 화장 문화가 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