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자유구역 성사시키자" 대구·경북 한목소리

"획기적 지역발전 이끌 터전 될 것…법안 개정에 시도민 역량 모아야"

수도권과 남서해안 축에 끼여 나날이 위축되고 있는 대구·경북이 경제성장의 불씨를 지피고 비상의 날개를 달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성장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각계에서 높다.

지도층 및 전문가들은 그 방안으로 구미-대구-경산-영천을 벨트로 묶어 각종 규제를 풀고 과감한 인센티브를 주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또 이를 위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경제자유구역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내륙도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가능토록 하는 법안개정에 시·도민의 역량을 결집시켜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김만제 낙동포럼 이사장은 "미봉적인 계획으로는 대구·경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 내륙도시 대구권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글로벌화하는 데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최선이다."고 했다.

이인중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은 "경제자유구역 개정법안이 상정된 것은 대구·경북에 절호의 기회다. 침체된 지역경제를 일으키고 글로벌 도시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경제자유구역이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고 밝혔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도 "지역 균형발전 명분은 물론이고 침체된 대구·경북의 새 이정표를 만들기 위해서도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또 자유구역 지정의 1차 관문인 개정법안 통과를 위해 시·도는 물론 정치권, 시·도민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정법안 통과를 주도하고 있는 이한구 한나라당 국회의원은 "지금까지 '안 된다는 것'을 법안개정 단계에까지 끌고 왔다. 여권에 대한 설득도 마쳤고 개정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면서 "시·도가 정치권과 정부를 설득할 수 있도록 '화끈한 작품'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대구·경북 경제회생을 위해 약속한 것인 만큼 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다짐했다.

이와 함께 지구지정 계획안이 대구·경북 경제통합을 더 가속화시키고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홍철 원장은 "대구·경북은 교육·의료 등 지식서비스업 잠재력이 강한 만큼 지식창조형으로 큰틀을 잡아 기존 물류중심의 구역과 차별화하고, 지식관련 제조업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만제 이사장은 "자유구역 선정 주체인 재경부가 제일 중요시 하는 것이 시장, 도지사의 '의지'인 만큼 중앙정부 의존을 최소화하는 투자전략을 세우고,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타지역 경제자유구역청 사례를 참고해 재경부 등과 자문을 겸한 조율을 거치는 등 지구지정에 나름의 역할을 하겠다."고 했고 이인중 대구상의 회장도 "경북상의 협의회와 함께 지구지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외자와 첨단산업 유치를 위해서는 규제완화와 인센티브가 필수적이다. 시와 도는 공동으로 지역간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지정 계획안을 만들어 가겠다. 개정법안 통과와 지구지정을 위해 시·도민들이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