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공단 업체들의 생산기지 해외 이전 바람이 거센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해선 한계기업의 업종 전환 유도, 신규사업 진출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구미상공회의소(회장 이동수)에 따르면 구미공단 내 섬유, 범용전자제품 업체들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폐업 또는 생산기지를 베트남 등 노동력이 싼 동남아시아로 이전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 현재 1천여 개 업체 중 100여 개 업체가 동남아 등지로 진출해 총 투자건수 602건에 67억 2천3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는 것.
이로 인해 구미공단의 생산 및 고용감소가 가시화되는 등 산업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미상의는 최근 상주대 비즈니스경제학과 박상우 교수에게 '산업공동화에 따른 한계기업들의 업종전환 및 신규사업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를 용역 의뢰했다.
박 교수는 분석보고서를 통해 구미공단 업체들의 해외 이전 동향 및 신규사업진출 계획 실태 조사 등을 통해 한계기업의 전환유도, 신규사업 진출에 대한 중점 지원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업종전환시 자금 지원, 세제상 특례 지원, 유망사업 등 신규진출 분야에 대한 정보제공, 행정절차 간소화, 경영·기술 컨설팅 지원 등을 강력히 희망한다고 밝혔다.
구미상의는 "기업유형에 상관없이 획일적인 지원을 하는 현행 정부 지원정책을 재검토, 금융시스템 개선, 신제품 신시장 개척 지원 등으로 원활한 업종 전환을 유도해 산업공동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