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환경발전기금 네번째 출연…총 1천억 규모

포스코가 8일 동빈내항 복원사업을 위해 300억원의 지역발전기금을 출연키로 하면서 포스코가 환경 복구 차원에서 포항 지역에 지원·출연·보상한 자금 규모가 1천억원대에 이르게 됐다. 포스코가 환경 문제로 지갑을 크게 여는 것은 1995년 영일만어민피해 보상금으로 200억원을 내놓은 이래 이번이 네번째다.

공기업으로 출발한 포스코는 과거에는 정부의 막강한 후원을 업고 있었던 덕에 지역의 요구를 외면하면서 성장일변도의 경영을 해왔다. 지역문제에 직접 발을 담그게 된 계기는 자치단체장 직선제 때문이었다. 1995년 자치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포스코는 제철소 건설로 어업권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해온 영일만어민피해대책위원회와 줄다리기 끝에 직간접 피해보상금으로 200억원을 지급했다.

포스코는 또 당시 야당후보로 나서 당선된 박기환 시장과 시소논쟁을 벌이다 그해 말 환호해맞이공원 조성비로 직접지원 200억원과 채권매입비 100억원을 합쳐 3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해야 했다. 이때 포항시가 주장한 논리는 "제철소 때문에 환경여건이 나빠졌으므로 시내에 공원 하나는 포스코가 주축이 돼 만들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이어 2004년에는 지역민에 대한 직접 보상도 처음으로 이뤄졌다. 포항제철소 건립 이후 조류의 흐름과 형산강 물길이 틀어지면서 송도해수욕장 백사장이 유실됐고 이로 인해 영업권을 잃게 됐다는 송도해수욕장변 158개 상가 대표들이 포스코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집회·시위 등 끊임없는 집단민원으로 몸살을 앓다 포스코는 법원이 제시한 117억8천만원 보상이라는 법원의 민사조정 결정을 받아들여 조정액 전체를 지급했다.

이번에 네번째로 300억원을 내놓은 포스코는 "앞으로 환경 관련 집단민원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박승호 포항시장은 "포스코의 지역발전기금 출연은 주민들과 상생 화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