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없다?"
노래하는 고속도로는 실제 있다. 전국 2곳에 존재하며 이 가운데 하나가 지난해 11월 개통한 상주~청원 고속도로로, 청원기점 68.6㎞지점(상주 가장동)에서 상주 방향 주행선으로 달리면 차량 밑에서 흘러나오는 음을 들을 수 있다.
이 도로에서 나오는 노래는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로 시작하는 동요(자전거)이다. 과속'졸음운전 등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빈도가 높은 지점에 설치한 것으로, 이 구간의 제한속도는 시속 110km지만 안전운행을 유도하기 위해 시속 100km에서 최상의 선율을 들을 수 있게 설계했다.
원리는 이렇다. 고속도로 노면에 횡방향 홈파기(그루빙)를 시공해 홈과 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주행시 타이어의 진동음을 음원으로 변화시켜 종전의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음을 멜로디로 바꿨다. 즉 그루빙의 간격에 따라서는 음의 높이가, 폭에 따라서는 음의 양이, 개수(홈의 설치 길이)에 따라서는 음의 길이가 각각 달라진다. 이 원리에 따라 '자전거'라는 노래가 나오도록 그루빙의 간격과 폭, 개수를 각각 조절해 시공한 것.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너비 2.4㎝의 홈을 10.6㎝ 간격으로 차도에 파 놓으면 차량이 지날 때마다 기본음 '도' 소리가 나온다. '레'는 9.5㎝, '미'는 8.4㎝로 홈 간의 간격이 작아진다. 홈이 도로 위에 설치된 실로폰 역할을 하는 것.
박자는 홈이 설치되는 길이로 조정한다, '도' 음을 내는 홈을 차량 진행 방향으로 20m까지 쭉 늘어놓으면 0.72초 동안 '도' 음계가 이어지고, 이것이 한 박자(♩)의 효과를 낸다. 10m를 늘어놓으면 반 박자(♪)가 되는 것. 따라서 노래의 길이에 따라 시설의 길이도 달라지는데, 상주~청원 고속도로에서는 시속 100km로 달리면 약 20초 동안 동요 전곡을 들을 수 있다.
한편 국내 최초의 노래하는 고속도로는 상주~청원 고속도로보다 두달 먼저 개통한 서울외곽순환도로로, 판교 쪽 103.2km 지점에 가면 '떴다 떴다 비행기'로 시작하는 동요가 나온다. 이곳 역시 344m 구간에 걸쳐 12초 동안 노래가 계속 이어지도록 설계됐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사진 정재호기자 new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