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전한 인사
박상순
아내가 옷장 정리하다 십 년 넘은 양복을 이제 버리자고 한다. 두어 벌의 새 양복이 옷장에 걸리는 동안, 한 번도 입지 않은 양복을 버리자고 한다. 털이 다 빠지고 소매 낡아 몸에도 맞지 않는다. 어깨가 좁고 소매가 달랑 올라붙었다. 뿌리양복점이 문 닫은 지 이십 년이 지났는데, 옷장에는 아직 뿌리양복점이 걸려 있다. 안주머니에 뜨겁던 젊은 날이 아직 남아 있으려나. 비닐봉지에 싸여 구석으로 밀려난 양복을 꺼낸다. 휑하니 불어오는 바람의 문을 닫는다. 젊은 날 수고 많았다.
나이 든 남자라면 누구나 경험하였으리라, 첫 양복의 기억. 첫 키스처럼 영 잊히지 않는 기억. 첫 양복은 비로소 어른이 되었다는 증거였다. 양복을 챙겨줄 부모가 없어 숙모의 손에 이끌려 양복점 문턱을 넘었던 사람이 있었다. 난생처음 목돈 주고 맞춘 양복이 아까워 옷장에 걸어놓고 바라보기만 하다가 간 사람도 있었다. 다름 아닌 우리 집 이야기이다.
그런데, 맞춤양복이라니. 그것도 이십 년이 넘은 양복을 버리지 못해 망설이다니. 돈이 아까워서 그런 것은 아닐 터. 그 옷에 깃든 '젊은 날'을 쉽사리 지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젊은 날은 가고, 뿌리양복점도 문을 닫고, 시인도 정년을 맞이했다. 지방도를 따라 깊이 들어간 벽촌. "대한민국 중학교 2학년/아홉 명의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오지 중의 오지를 골라 다녔던 교직. 낡은 양복 밀치듯 나이를 벗는다. "수고 많았다", 젊은 날이여.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권성동 구속 직후 페북 입장문 "민주당, 피냄새 맡은 상어떼처럼 몰려들 것"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