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대학입시 하면 수시와 정시만을 생각한다. 또한 수시는 학생부와 논술, 정시는 수능이 당락의 결정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각 대학의 전형요강을 꼼꼼히 살펴보면 논술과 수능 외에 외국어나 수학, 과학 등에 특별한 재능이 있다면 갈 수 있는 대학과 학과가 많다. 자신이 지망하고자 하는 대학의 요강을 읽어보고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을 찾아 미리 대비하면 보다 쉽게 대학으로 가는 문을 찾을 수도 있다.
◆외국어가 뛰어나면
영어를 포함한 외국어에 뛰어난 소질이 있는 수험생들은 해당 외국어를 비중 있게 반영하는 전형에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일정 인원을 선발한다. 건국대는 국제화 전형(수시 1차)에서 어학 성적 70%, 논술고사 30%를 반영해 250명을 선발한다. 경희대는 국제화 전형(수시 1차)에서 서류평가 60%, 심층면접 40%를 반영해 150명을 뽑는다. 고려대는 전년도의 글로벌 인재 전형을 세계 선도 인재 전형(수시 1차)으로 명칭을 바꿔 200명을 선발하는데 1단계에서 어학 40%, 학생부 60%를 반영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 면접 30%를 반영한다. 서강대는 알바트로스 국제화 전형(수사 1차)에서 공인 외국어 성적 50%, 면접 50%를 반영해 82명을 뽑는다. 성균관대는 글로벌리더 전형(수시 1차)에서 학생부 40%, 서류 30%, 면접 30%로 230명을 선발하고, 연세대는 서류평가 60% 논술고사 40%를 반영해 500명을 선발하는데 전년도의 글로벌 리더 전형에다가 특기자 전형을 합친 전형이다. 이화여대는 이화 글로벌 인재 전형(수시 1차)에서 250명을 뽑고 한양대는 글로벌 한양 전형(수시 2차)에서 120명을 선발하는데 학생부 10%, 어학 성적 40%, 면접 50%를 반영한다. 서울대는 특기자 전형에서 1천77명(35%)을 선발하는데 학생부 교과 성적은 물론 비교과 영역을 다양하게 반영해 선발하는데 모집 규모가 크기 때문에 서울대를 지망하는 수험생들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전형이다.
◆수학·과학 특기가 있다면
수학과 과학 과목에 뛰어난 소질이 있거나 올림피아드 수상 경력이 있는 수험생들은 각 대학의 특기자 전형 중에서 이들 과목이나 수상 경력을 비중 있게 반영하는 전형에 지원하면 유리하다. 고려대는 과학영재 전형에서 1단계는 학생부 40%, 서류 60%를 반영해 모집정원의 3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50%, 심층면접 50%를 반영한다. 서울대는 1단계에서 서류평가를 통해 2~3배수를 선발한 다음 자연계는 서류평가 50%, 면접 구술고사 50%를 반영하는데 2단계에서는 면접·구술고사 비중이 크다. 서울대 특기자 전형은 과학고 수험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인데 과학고 출신이 2007학년도에 244명(36.6%), 2008학년도에는 288명(31.0%), 2009학년도에는 329명(30.8%)이 합격했다. 성균관대도 과학영재 전형에서 학생부 40%, 서류 30%, 면접 30%를 반영한다. 이화여대는 미래과학자 전형에서 150명, 한양대는 한양우수 공학인 전형에서 80명을 선발한다.
◆적성검사로 대학가기
수시모집에서 가천의대, 가톨릭대, 경기대, 경원대, 광운대, 고려대(세종), 명지대, 서경대, 한성대, 한양대(안산) 등은 적성평가를 시행한다. 적성평가는 객관식 시험으로서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이들 대학에 지망하려는 수험생들은 적성평가 시험을 대비해야 한다. 가톨릭대는 일반학생Ⅰ전형에서 학생부 60%, 적성평가 40%를 반영하고, 일반학생 Ⅱ 전형에서는 적성평가만 100% 반영한다. 경원대는 일반학생 전형(수시 1차, 2차)에서 학생부 40%, 적성검사 60%를 반영하고 고려대 세종캠퍼스는 학생부 20%, 적성검사 80%를 반영하는데 적성검사 비중이 절대적이다. 한성대는 Dynamic 한성 전형에서 학생부 50%, 전공적성 50%를 반영하고 한양대 안산캠퍼스는 일반 우수자 전형(수시 2차)에서 학생부 40%, 전공적성 60%를 반영하고 수능 최저 학력 기준도 적용한다.
적성평가 준비는 기출문제나 모의고사 문제를 통해 각 대학의 출제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에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풀어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적성평가는 객관적 문제 위주로 출제되기 때문에 준비를 하면 그만큼 효과를 볼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된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도움말·송원학원 진학지도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