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생안정 대책의 하나로 내놓은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모집 첫날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충분한 검토 없이 사업을 추진한 탓에 처음부터 신청 개시일이 뒤바뀌는 등 크게 혼선을 빚고 있는데다 홍보 부족으로 신청자 수도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대구시내 8개 구·군에 따르면 당초 정부 발표대로 11일부터 희망근로 신청을 받은 곳은 수성구와 달서구, 달성군, 북구 등 4곳에 그쳤다. 중구, 남구, 서구, 동구 등 4곳은 13일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이는 정부가 '희망근로' 신청 접수를 11일로 예정했다가 선정 기준과 포스터 등의 수정·보완 등을 이유로 이날 오후 늦게야 선정 지침을 확정하고 시행 시기를 13일로 바꾼 탓이다.
이 때문에 시행 시기를 행정안전부 지침에 맞춘 기초자치단체는 쏟아지는 문의 전화에 몸살을 앓기도 했다. 대구시내 한 구청 관계자는 "11일 오후 늦게야 행안부 지침이 내려오는 바람에 모집 시기를 늦출 수밖에 없었다"며 "아직 주민 홍보도 부족해 각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홍보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구청 관계자는 "8일 행안부 교육 당시에는 13일부터 신청자를 받으라고 하더니, 언론 보도가 이어지자 10일부터 신청자를 받으라고 하는 등 혼란을 빚고 있다"고 했다.
신청자 수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수성구의 경우 접수 첫날 신청자는 전체 모집인원 2천78명 중 17명에 그쳤다. 북구는 2천238명 모집 정원 중 120명이 신청하는 데 불과했고, 달서구는 2천852명 가운데 400명이 신청서를 접수했다.
대구 한 구청 관계자는 "정부가 실업자 구제 명분만 앞세워 주민들에게 홍보할 여유도 없이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 정책시행을 서두르고 있다"며 "시간 부족으로 신청자들에게 제공해야 할 일자리 발굴에도 한계가 있다"고 털어놨다.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정부가 1조7천억원을 투입, 다음달부터 차상위계층과 실업자 등 전국 25만명(대구 1만3천563명, 경북 1만2천875명)에게 6개월간 일자리를 주고 월 83만원을 지급하는 일자리 사업이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