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없는 내 인생'(My Life Without Me, 2003년)은 2006년에 '죽기 전에 하고 싶은 10가지'라는 제목으로 개봉됐던, 스페인과 캐나다의 합작영화라고 한다.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시한부 인생'을 다룬 수많은 영화 중 하나이다.
엄벙덤벙거리는 남편과 철부지인 두 딸을 둔 23세의 주인공에게 청천벽력 같은 선고가 떨어진다. 자궁암 말기에 남은 시간은 겨우 두 달이란다. 짧기만 했던 '나 있는 내 인생'을 정리하고, 남은 기나긴 '나 없는 내 인생'을 준비하는 일상의 풍경들이 펼쳐진다. 자신의 죽음을 주변에 비밀로 한 채, 그동안 하고 싶었던 일, 남은 사람을 위해 준비할 일, 그리고 자신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을 하나하나씩 챙기기 시작한다. 무척이나 담담하고, 때로는 발칙하게 말이다.
굳이 시한부 죽음을 앞둔 애절한 정한 가락이나 절절한 눈물 타령이나 늘어놓자는 건 아니다. 어디 한 번 삶에 대하여 새삼스럽게 이야기해 보자는 거다. 사는 게 뭐 별거더냐, 살아지니까 그냥 사는 것이라고, 시큰둥하게 이야기하지 말자. 너무나 익숙하게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더더욱 허투루 흘려보내는 우리네 삶을 한번만이라도, 억지로 절박한 심정이 되어서라도 뒤돌아보자는 것이다. 놀라운 신세계는 꼭 새로운 풍경 앞에서만이 아니라, 새롭게 뜨인 눈앞에서도 곧잘 펼쳐진다고. '나 없는 내 인생' 앞에서야, 비로소 '나와 함께하는 내 인생'의 심드렁하기까지 했던, 눈물겹도록 소중한 모든 사소한 풍경들에 눈이 뜨여진다. 정말 소중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봉사 단청 구경하듯이 허둥지둥거리느라 미처 눈여겨보지 못했을 뿐이라고.
"우물쭈물하다 내 이럴 줄 알았다." 독설가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영국 극작가 버나드 쇼가 묘비명으로, 스스로에게 남긴 마지막 독설이다. 깨달음은 이처럼 너무 늦게야 찾아오거나, 아니면 너무 호된 대가를 치르고 난 뒤에야 비로소 주어지곤 한다. 이럴 때 제 몸으로 부딪치는 시행착오가 아니라 남이 벌여놓은 굿판을 은근슬쩍 엿볼 수 있다는 것은, 퍽이나 안전하고도 요긴한 기회인 셈이다. 살아가는 것이 막막하고 주변의 사소한 것들로 자꾸만 짜증스러워질 때, 신파극 안 남의 죽음이라도 가끔씩, 미리 만나보자. 강 건너 피눈물 판에 기대어 스스로 작은 웃음의 의미를 되찾아본다는 것이, 속보이도록 얄팍하고 얌체 같은 짓이 아닐까, 라고 겸연쩍어지더라도 말이다. 왜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그토록 좋다는 건지 궁금하지도 않은가.
송광익 늘푸른소아청소년과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