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지역 낙동강과 백두대간이 생태관광 거점으로 빛을 발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4대강 살리기사업, 3대문화권 문화·생태 관광기반 조성사업, 백두대간 생태관광자원 개발사업, 중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사업 등 다양한 국책사업의 중심에 상주의 낙동강과 백두대간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상주는 낙동강 700리 본류의 시발점인데다 낙동강 중 제1경인 경천대가 있는 상징적인 지역이다. 낙동강의 상주구간은 33.4㎞로 4대강 살리기사업에서 2개의 보가 설치되는 등 주요 관광자원지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부의 광역경제권 30대 선도 프로젝트의 하나인 3대 문화권 조성사업 중'낙동강 이야기나라 조성사업'(1천400억원)과'국립 낙동강생물자원관'(983억원)이 우선 선도사업으로 선정돼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상주에는 속리산국립공원을 포함한 백두대간 69.5㎞가 통과하고 있다. 상주 구간에는 공성면 인성분교(폐교)를 활용한'백두대간 생태교육센터'(67억원)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또 3대 문화권 조성사업 평가보고회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백두대간 거꾸로나라 이야기 숲 조성사업'(737억원)도 선도사업으로 선정될 전망이다. 상주시 화북면 우복동 일대를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인 이 사업은 수려한 자연풍광과 정감록 십승지인 우복동(牛腹洞)이라는 길지(吉地)를 배경으로 한 이색 관광자원 개발사업으로, 건강(나이를 거꾸로)과 음식(먹을거리를 거꾸로), 숙박(집을 거꾸로)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구한의대가 개교 30주년과 동의보감 400주년을 기념하여 전략적으로 운영에 참여할 계획이다. 대구한의대는 이곳에 한(韓)테라피 연구원과 자연의학 국제교류 전시관 등 R&D 기능도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용역을 발주한 백두대간 생태관광자원 개발사업과 중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사업에도 상주지역이 포함돼 상주는 낙동강·백두대간 생태축을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거점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상주·이홍섭기자 h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