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생산라인의 허리가 휘청거리고 있다.
25∼49세 청·장년 취업자가 1천500만명 이하로 내려앉은 것이다.
한국경제의 허리역할을 담당하는 이들 핵심 연령층의 취업 감소는 대한민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에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전체 취업자는 2천322만9천명.
1년 전인 2008년 12월 취업자수 2천324만5천명보다 1만6천명 감소했다.
전체적으로는 1만6천명 감소지만, 25∼49세 취업자는 25만7천명이나 줄었다.
지난해 12월 1천517만7천명에서 1천492만명으로, 1천5백만명 이하로 내려앉았다.
이 감소 폭은 환란 당시였던 1998년 12월(-74만1천명) 이후 최대다.
전체 취업자에서 25~49세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4.2%.
전년도 같은 달의 65.3%보다 1.1% 포인트 떨어지면서 사상 최저 수준이다.
25∼49세 연령대의 취업자가 줄어들면서 국내경제의 생산성, 소비, 저축성향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뉴미디어본부 최미화 기자 cklala@naver.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