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조성될 경우 대구경북이 입게 될 피해는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크다.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을 빨아들이는 세종시 자체로 인한 피해도 문제인데다 세종시를 축으로 해 대전과 오송, 오창 등이 연계'발전하는 데 따른 피해는 더 염려스럽다.
그 우려 중 하나가 정부가 지원하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인근 오송'오창'대전 등 충청권이 거대한 첨단의료벨트로 조성될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대구경북이 추진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며칠 전 대구경북연구원이 주최한 '세종시 수정안에 따른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의 대응 방안' 세미나에서도 여기에 대한 걱정과 다양한 해결 방안 등이 쏟아졌다. 세미나 참석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오창-오송-세종-대덕R&D특구를 아우르는 이른바 세종시 C벨트가 바이오'메디 신(新)거점으로 부상할 경우 대구경북 의료단지가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충청권을 잇는 C벨트가 서울-경기-원주를 잇는 메디밸리로 성장하게 된다면 대구경북 의료단지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될 것이란 우려까지 제기됐다.
대구경북으로서는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반대 못지않게 우리 지역이 살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정부로부터 세종시를 능가하는 지원을 받아내는 게 중요하다. 의료단지도 이 같은 시각에서 해법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그런 점에서 세미나에서 제시된 구미-대구-경산-영천-경주-포항을 잇는 바이오 메디컬 W(BMW) 벨트 구축은 의미가 있다. 각 지역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연결시켜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여기에 정부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BMW 벨트는 세종시 C벨트에 맞먹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정부 지원을 따내기 위해 대구경북이 얼마나 역량을 발휘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대구경북이 세종시 수정의 최대 피해자란 사실을 정부에 적극 주지시키는 것은 물론 바이오 메디컬 W 벨트의 당위성과 타당성, 성공 가능성 등을 인식시켜 정부 지원을 얻어내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굴지의 해외 병원, 의료 기업, 연구원 등을 유치해 중앙 정부가 지원 및 관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시급하다. 대구경북의료단지를 위협하는 '공룡'으로 부상할 게 확실한 오송을 중심으로 한 충청권 바이오'메디 벨트와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한 지혜와 해법을 적극 찾아야 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