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2010년 민생안정 종합대책'에 나타난 대구 빈곤 계층 실상은 충격적이다. 최빈곤층인 기초생활수급자가 예년 평균 증가율 4%보다 훨씬 높은 7.2%나 늘어나면서 복지 지원이 필요한 사각 지대 계층이 무려 53만 8천여 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대구시 전체 인구 250만 명의 21.6%로, 시민 5명 중 1명이 빈곤 계층이라는 얘기다.
빈곤층이 이처럼 늘어난 일차적 원인은 2008년에 터진 글로벌 금융위기이다. 그러나 금융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대구경제가 한계상황에 봉착한 지 오래됐음을 감안할 때 이 같은 현상은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 대구 시민 모두가 체감하고 있는 현상을 통계 수치로 재확인해준 것일 뿐이다.
이는 대구에 변변한 기업이 없고 그러다 보니 마땅한 일자리를 찾을 수 없는 데서 오는 당연한 현상이다. 대구시는 복지 예산을 20% 늘리는 등 빈곤 계층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한다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서 빈곤 계층 증가를 막을 수 없다. 재정으로 일자리를 일시적으로 늘려본들 이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해주는 항구적 일자리와는 거리가 멀다.
대책은 분명히 나와 있다.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 유치뿐이다. 빈곤 계층에 대한 직접적 지원도 필요하지만 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일자리를 주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대구시는 과연 어떤 노력을 했는지 물어보고 싶다. 대구시의 일자리 창출 대책은 전국 수위를 달리는 실업률 통계가 말해주듯 실패의 연속이다. 열심히 노력했지만 잘 되지 않고 있다는 말로 합리화할 단계가 지났다는 얘기다. 이런 상태로 10년이 더 지나면 대구는 도시 전체가 슬럼화될지도 모른다.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대구시의 근본적 정책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