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고용 확대는 기업 자신을 위한 길이다

국민경제에 대한 기업의 기여도는 고용과 투자를 얼마나 더 늘렸느냐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 대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는 기대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 해마다 매출과 순익은 늘어나고 있지만 고용과 투자 확대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현실은 기업의 존재 의미를 되묻게 한다.

금속노조 정책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10대 그룹의 매출액은 2006~2008년 평균치보다 26.6%, 당기순이익은 무려 33.4%나 증가했다. 이렇게 벌어들인 수익은 현금성 자산 형태로 기업 내부에 쌓여 있을 뿐 확대재생산을 위한 고용과 투자 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 비금융계열사의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말 16조 4천553억 원으로 2007년보다 37.9%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 1억 원당 노동자 수는 1.64명에서 1.16명으로 감소했다. 현대'기아차 그룹도 마찬가지다. 현금성 자산은 11조 6천467억 원으로 2007년보다 63.7%가 늘었으나 당기순이익 1억 원당 노동자 수는 2006년 3.52명에서 지난해 말 1.79명으로 급감했다.

순이익당 노동자 수가 감소했다는 것은 생산성 향상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으로는 기업만 좋아졌을 뿐 국민 생활은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기업이 고용을 통해 국민의 생활과 복지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기가 나아지고 있다지만 국민들이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민의 생활이 나아지지 않으면 구매력이 감소하고 종국에는 기업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 이런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첩경이 고용 확대이다. 고용 확대는 국민뿐만 아니라 기업 스스로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대기업은 깨달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