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감 후보 A씨는 대구YMCA 희망자전거제작소에서 전기자전거 10대를 빌렸다. 대당 350만원으로 10대 모두 합쳐도 전광판이 달린 유세차량 1대 임대료와 비슷한 금액이다.
A 후보 측은 "정책 대결로 교육감 선거가 진행돼 깨끗한 이미지를 알리는 데 자전거만큼 좋은 이미지 전달방법이 없다"며 "주민들을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자전거를 택했다"고 말했다.
반면 대구시장 후보 B씨는 1t 차량 12대를 유세차량으로 빌렸다. 후보가 직접 타는 2.5t 차량 1대까지 총 13대. 어림잡아 1억5천만원 이상의 돈이 들지만 구역이 넓어 차량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13일부터 6·2지방선거 후보등록이 시작되면서 후보 캠프마다 유세 차량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8개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는 이번 선거의 경우 선거사상 가장 많은 후보들이 선거에 뛰어들면서 선거운동의 대명사로 알려진 유세 차량 대여료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후보들의 재정 상태에 따라 유세차량도 극과 극을 달리고 있다. 첨단 장비를 탑재한 멀티미디어 유세차량이 있는가 하면 서민형 자전거도 동시에 인기를 얻고 있는 것.
선거캠프에서 가장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유세차량은 동영상 및 문자 전광판을 동시에 탑재한 하이브리드 형.
문자구호와 동영상 자료를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홍보효과가 뛰어나다. 멀티미디어 유세차량이 본격 등장한 것은 지난 17대 총선부터다. 합동유세와 정당연설회가 폐지됐기 때문. 거리유세 차별화를 위해 동영상 유세의 비중이 높아졌고 후보나 연설원이 자리를 비워도 하루종일 홍보를 할 수 있다는 게 장점.
특히 선거운동 범위가 넓은 광역단체장의 경우 멀티미디어 유세차량이 필수다. 선거기획사들에 따르면 기본적인 음향 및 영상장비를 갖춘 1t 트럭 대여료는 1천만원을 넘어선다. 선거기획사 한 관계자는 "후보 동영상도 보여줄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화면이 있는 1t 트럭은 대당 임대료가 3천만원에 육박한다"며 "물량이 한정돼 대여료가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재정력이 약한 기초의원의 경우 자전거 선호도가 높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효과가 괜찮은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에 맞춰 선거유세용 전기자전거를 제작한 대구 YMCA 희망자전거제작소는 주문식 전기자전거 '위너스바이크'(Winner's Bike)를 제작해 임대하고 있다. 삼륜 자전거인 위너스바이크는 조명등까지 갖춰 야간에도 운행이 가능하다. 300w짜리 소형 스피커를 탑재할 수 있다. 유세차량의 소음 공세에서 자유로운데다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전통시장, 골목길에서 '절대 강자'로 통한다. 전기충전식으로 친환경적이고, 주민접촉에 월등히 유리하다. 정책 선거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한 선거 홍보 장치인 셈이다. 임대 가격은 350만원 상당이다.
이곳 김말선 사무국장은 "기본적으로 선거문화를 바꿔보자는 시도였기 때문에 100대로 한정했다"며 "수도권 출마자들까지 문의 전화가 쇄도하고 있고, 정책·이미지 대결에 치중하는 교육감·교육의원 들의 관심도가 높다"고 말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