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디지털포럼(회장 서상기)은 중국발 디도스(DDos) 대란 1주년을 맞아 지난달 7일부터 25일까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등 60개 중앙부처 및 정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DDoS공격 대응 및 무선랜 취약점, 홈페이지 취약점 등 3가지를 점검한 결과 "아직도 미흡한 곳이 많다"고 밝혔다. 서 회장은 "공격 유형별로 전체 기관 차단 비율이 약 54%(89개 공격 중 48개)로 효과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전문 운영자가 없거나 운영 관리를 소홀히 하면서 각종 공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소량의 공격에도 홈페이지 접속 불가 및 서비스 지연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서 회장은 "2009년 7월 DDoS 대란으로 온 나라가 홍역을 앓고도 아직 정부기관에서조차 대책 마련에 소홀한 것은 일종의 직무유기"라며 "국가기관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세계 최고의 전문해커 1천 명을 상시 보유해 국가정보전에 대비해야 하며, 악성프로그램 확산방지법(일명 좀비PC방지법) 등 제도적 개선과 정보 보안 관련 예산 확대 및 보안 인력 확충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