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에서는 13세기부터 실전(實戰)에 사용된 로켓이 서양의 전장에서 처음 나타난 것은 나폴레옹 전쟁 때인 1806년 오늘로 알려져 있다. 이날 볼로뉴에 정박 중인 프랑스 함대를 영국이 로켓으로 공격했는데 그것이 발명자 윌리엄 콘그리브(1772~1828년)의 이름을 딴 '콘그리브 로켓'이다. 포격으로부터 전함을 보호하기 위해 전함에 장갑을 입히는 것을 최초로 제안했으며, 영국 풍속희극의 대가 윌리엄 콘그리브(1670~1729년)와 동명이인이다.
콘그리브 로켓은 인도 마이소로국의 티푸 술탄과 그의 아버지 하이더 알리가 영국의 침략에 대항해 벌인 1792년과 1798년의 세링가파탐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큰 타격을 입힌 '마이소로 로켓'을 개량한 것으로, 적에게 엄청난 심리적 타격을 안겨줬다. 나폴레옹 전쟁은 물론 영미전쟁 때인 1814년 미국의 머켄리 요새 공격에도 사용됐다. 미국 국가 가사 중 "로켓의 붉은 섬광, 하늘에서 터지는 폭탄…"이라는 구절은 작곡자 프랜시스 스콧 키가 이날 전투에서 콘그리브 로켓의 섬광이 밤하늘을 가르는 광경에 영감을 받아 쓴 것이다. 1850년대까지 영국군의 공격무기로 사용됐으나 낮은 신뢰성 때문에 폐기되고 조명탄과 선박 구조 신호용으로 전환됐다.
정경훈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