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살리기 사업 구간인 경북 의성군 단밀면 낙동강변에서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14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하는 '낙동강 살리기 32공구 공사' 구간 내 낙단보 통합관리센터 부지 조성 과정에서 지난 8일 지하에서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됐다고 공개했다. 문화재청은 바위에 보살을 새긴 이 보살좌상이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바 없는 양식의 고려시대 마애불이라고 밝혔다.
마애보살좌상은 가로 550㎝에 세로 350㎝ 정도의 화강암 벽면에 새겨졌으며 보살상 규모는 높이 220㎝, 너비 157㎝, 얼굴길이 32㎝, 어깨너비 72㎝, 무릎너비 110㎝, 대좌 너비와 높이 157㎝ x 57㎝다. 머리에 삼산형(三山形) 보관을 쓰고 눈과 입술을 도드라지게 표현한 이 보살상은 연약하게 처리한 팔과 생략이 강한 착의(着衣) 형식, 그리고 평면적이면서도 도식적인 연화대좌 등에서 고려 전기에 지방화한 불상 양식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문화재청은 밝혔다.
문화재청은 불상이 발견된 지역의 일부 공사는 중단됐으며 이른 시일 내에 관계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보살좌상의 성격을 밝히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국토해양부와의 협의 등을 통해 보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의성·이희대기자 hd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