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동안 묶인 땅이 이제야 풀리게 됐습니다."
그동안 완충녹지(광장부지)로 묶여 재산권 행사 및 토지활용이 불가능했던 경부고속도로 구미 IC 부근 구미 신평동과 광평동 일대 22만5천983㎡ 부지 가운데 일부가 해제될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는 11월 19일 제9회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신평·광평동 일대 완충녹지 13만4천367㎡를 2012년까지 해제한다'는 내용으로 조건부 가결했다.
경북도 도시계획위에 따르면 ▷농경지 및 휴경지 ▷주거용 건축물 입지지역 및 주변 훼손지 ▷이미 훼손된 대규모 나대지 ▷신설된 대로 1-22호선 등 13만4천367㎡ 부지를 해제한다.
그렇지만 경북도는 ▷구미 IC 교통광장 동측 20m ▷이미 조성된 완충녹지 지역 ▷남·북측에 있는 솔 숲 ▷고속도로 본선과 연접한 지역 ▷구미시가 완충녹지 현황을 고려한 지역 등은 보존키로 했다.
따라서 이 일대 완충녹지 지역은 2012년까지 지구단위계획 및 도시개발계획을 수립해 자연녹지 지역으로 바뀌면서 개발이 가능하게 됐다.
그동안 경북도는 구미 IC 주변 완충녹지의 자연녹지 변경안을 지난 2003년부터 수차례 걸쳐 완충녹지 해제시 고속도로변의 주거지역화로 소음 등 환경문제 발생 우려, 주거지역이 과다, 공업지역과 관련되게 토지사용 등의 이유를 내세워 보류 또는 부결시켜왔다.
또한 구미 IC 주변 완충녹지의 자연녹지 변경안은 각종 선거 때마다 후보들의 단골 공약이었다.
특히 이 일대 토지소유주 100여 명은 지난 2005년 8월 토지개발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경북도와 구미시 등을 상대로 완충녹지 지역 해제를 요구해 왔다.
김익수 구미시의원은 "구미공단이 건설되고 경북고속국도가 개통되던 지난 1970년대 초 구미 IC 앞 전·답이 정부정책에 따라 완충지대로 묶인지 40년이 됐다"면서 "이제야 주민숙원사업을 해결됐다"며 환영했다.
이국원 신평·광평도시개발조합장(가칭)은 "정부나 시에서 33번국도를 만든다며 필요 부지는 9년 전에 수용하고 남은 전·답은 사방으로 도로가 개설되면서 농지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채 늪지대로 방치되고 있었다"며 "난개발과 부동산 투기 등이 우려되지만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구미 관문으로서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