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의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면서 신규 원전 유치 분위기도 크게 숙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덕, 울진, 강원 삼척 등 신규 원전 유치신청 지역에서 자치단체와 일부 기관은 유치에 적극적인 반면 일부 시민사회 및 환경단체 등은 유치 반대 목소리를 높여 갈등 양상까지 띠고 있다.
12일 울진지역 시민단체인 '핵으로부터 안전하게 살고 싶은 울진 사람들'(이하 울진사람들)에 따르면 최근 울진군민 1천95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규 원전 유치에 찬성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0.4%,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39%로 집계됐다.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10.6%였다.
이는 지난 2월 울진군에서 조사한 신규 원전 유치 찬성률(92.9%)보다 현저히 떨어진 수치로, 원전 안전에 대한 군민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3%가 '원전이 안전하지 않다'고 했다.
'원전 유치로 인한 경제효과와 농어업'환경'생태관광 등의 보존가치 가운데 어떤 것이 울진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질문에서 53.8%는 보존가치를, 46.2%는 경제효과를 더 높게 평가했다. 보존가치를 높게 평가한 응답자의 60.8%는 신규 원전 유치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또 신울진원전 건설에 따른 지역개발안을 담은 14개항 선결조건이 이행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신규 원전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36.7%, 선결조건 이행 후 건설 43.4%, 신규 원전 원천 반대 19.9%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폴스미스리서치가 이달 4일 10개 읍면 만 19세 이상 1천95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을 통해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96%p이다.
이와 함께 '울진사람들'은 12일 울진군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한수원의 원전 추가 건설을 반대하고, 울진군의 신규 원전 유치 철회를 촉구했다.
'울진사람들' 관계자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고, 원전 유치에 따른 체감 경기도 크지 않다"며 "신규 원전 찬성 의견이 높은 것은 울진의 경제상황이 그리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유치 반대 분위기는 더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진군 관계자는 "(군민들이) 신규 원전 유치 자체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며 "이미 10기가 운영, 혹은 건설계획 중에 있는 울진의 특성상 유치 반대보다는 안전성을 갖춘 원전의 유치가 타당하다"고 말했다.
울진'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