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大, 장학금 늘린다고는 하나…

저소득층 등록금 배려 등 근본적 부담완화 소극적

10일 오후 대구 2
10일 오후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에 모인 대학생들이 촛불을 밝힌 채 "정부'여당은 약속한 반값 등록금을 조속히 시행하라"고 외치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반값 등록금'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수도권 사립대학들이 저소득층 학생을 배려하는 '차등 등록금' 제도 보완 등 등록금 인하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지역 대학도 '복지 장학금' 확대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대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지역대학들이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식의 미봉책을 내놓고 타 대학의 눈치 보기에 급급한 채 근본적인 등록금 부담 완화 방안 마련에는 소극적이라고 꼬집고 있다.

영남대는 2학기부터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장학금의 비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영남대의 경우 2010학년도 기준으로 교비장학금 210억원을 지급했으며, 이 중 30% 정도가 기초생활수급가정과 차상위계층 학생 등을 위한 복지장학금이었다. 영남대 관계자는 "올 2학기 복지 장학금 신청을 받은 결과 1학기 신청자 1천150명보다 신청자가 270명가량 더 늘었다"며 "이들에게 최대한 장학금이 더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일대도 저소득층 학생 중심의 장학금 비율을 높일 계획이다. 경일대 관계자는 "저소득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과 성적 우수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등 전체 장학금을 현재 수준(54.6%)보다 높인다는 방침"이라며 "시급 6천원을 주는 '교내 인턴장학생'도 신청 학생 대다수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구가톨릭대는 학습 의욕은 높지만 가정형편 때문에 학업에 전념할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해 마련한 'CU-ACE 장학금'의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대구한의대도 '학과사랑 나눔운동'으로 모은 장학기금의 수혜 대상을 넓힐 계획이며, 계명대는 최근 신일희 총장 지시로 기존 장학금 제도를 대폭 확대하는 내용의 등록금 부담 완화 확정안을 이번 주내로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역 사립대학들의 이런 등록금 인하 방안은 피부에 느낄 만한 수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등록금 인하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수도권 등의 대학들과 달리 대부분 기존 장학금 제도를 조금 손보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사립대 경우 대체로 성적우수자 위주로 장학금 제도가 짜여져 있고, 저소득 학생을 위한 복지장학금은 선정 기준이 까다로운 실정이다. 수천억원의 적립금을 쌓아두고서도 학생 1인당 장학금액은 100만~140만원가량에 그치고 있으며, 일부 대학 경우 장학금 비율이 30%대에 머물고 있다.

또 대부분 대학들이 수수료 부담을 이유로 등록금 납부 시 신용카드 결제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경우 서울대가 부모 소득 하위 50%의 학생들에게 등록금 전액 감면을 추진 중인 가운데 연세대가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을 현재 31%에서 40%로 확대하는 안을, 동국대는 앞으로 4년간 모금할 제2 건학기금 목표액 1천억 중 10%를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으로 지급키로 최근 결정했다. 충북대 경우 가정형편이 어렵지만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지 못한 학생들을 심사해 등록금과 생활비를 포함한 '천사 장학금'을 지급해 호평을 받았다.

대구일반계학부모연합회 이지은 상임대표는 "반값 등록금 논란으로 촉발된 대학생'학부모들의 불만을 해소하려면 기존 장학금 제도를 대폭 손질하는 수준의 제도 보완이 필요할 것 같다"며 "특히 등록금 부담이 큰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제도 마련을 위해 대학들이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지역 사립대 경우 대부분 지난 3, 4년 간 등록금 동결을 하다보니 장학금 제도 개선에 한계를 느끼고 있지만, 경쟁 대학들이 장학금 확대에 나설 경우 따라 나설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