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反다문화주의 확산 경계하고 적극 관리해야

노르웨이 테러가 외국인 혐오와 인종주의 등 극우적 편견을 가진 인물의 소행임이 드러나면서 국내에서도 반(反)외국인, 반다문화주의 움직임에 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급속도의 다문화 정책의 부작용과 외국인 혐오증이 맞물려 우리 사회 내부에서도 이와 같은 왜곡된 시각이 커지고 있어서다. 자칫 이런 기류를 무시하고 방치할 경우 사회불안 요소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가 위기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할 때인 것이다.

현재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130만 명으로 이 중 외국인 노동자는 60만 명, 다문화가정도 18만 가구에 달했다.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아직 크게 부각될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외국인 거주자 증가와 비례해 종교'인종적 갈등이 조금씩 표면화되는 추세다. 급격한 다문화주의 유입과 정책에 대한 거부감이 장차 위험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무엇보다 경계할 것은 다문화 반대 움직임이 날로 커지고 조직화되는 경우다. 현재 관련 시민단체만도 10여 개에 이르고 일부 인터넷 카페의 경우 회원 수가 6천 명에 이를 만큼 세력화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동남아 등 외국인 노동자를 '바퀴벌레'라고 표현하는 등 노골적으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심지어 이슬람 국가 노동자를 국내로 들이지 말라며 노동부에 압력을 넣고 방송국을 대상으로 집단시위를 벌이는 등 집단행동까지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종교'인종을 차별하는 편협한 민족주의나 외국인 혐오증도 문제지만 이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해 갈등을 키우는 정부의 부실한 정책도 개선되어야 한다. 다문화주의를 적극 이해시키는 상호 소통의 노력은 중요하다. 그러나 급격히 늘고 있는 외국인 범죄율 등 갈등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는 등 이제부터 정부가 적극 관리에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