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채널] 원자력발전의 부산물 '사용 후 핵연료' 관리방안은…

KBS1 '원자력의 경고, 2016' 4일 오후 10시

KBS 대구방송총국은 4일 오후 10시 KBS 1TV를 통해 특집프로그램인 '원자력의 경고, 2016'을 방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원자력발전의 부산물인 '사용후 핵연료' 문제를 집중 조명한다.

핵연료는 원자로 안에서 핵분열을 일으킨 뒤 1년이나 1년 6개월이 지나면 새것으로 교체한다. 이때 다 쓰고 밖으로 꺼낸 핵연료가 사용후 핵연료이다. 반감기가 수만 년에 이르는 방사성물질이 포함돼 있어 원전 근로자의 작업복 등을 이르는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보다 방사능 독성이 매우 강하다. 현재 국내 원전에서 임시 저장하고 있는데 약 1만1천t이 쌓여 있고, 2016년이면 포화 상태에 이른다.

취재팀은 이 사용후 핵연료를 어떻게 처분하면 좋을지 살펴봤다. 사용후 핵연료 처분방안에는 기술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스웨덴처럼 수직으로 지하 500m에 묻는 '심지층처분'과 프랑스처럼 핵연료로 다시 쓰는 '재처리'이다.

2009년, 스웨덴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후 핵연료 심지층처분장 부지를 북쪽의 해안마을, '포스마크'로 선정했다. 1977년 전 국토 부지조사 이후, 30년 만에 이뤄낸 결실이었다. 스웨덴은 원자력발전 초기 단계부터 사용후 핵연료 처분방안에 대한 공론화를 시작했다. 지하 암반연구소를 지어 20년 동안 땅속 환경을 연구하면서 안전한 처분방안을 모색했다.

프랑스는 재처리를 통해 사용후 핵연료의 양을 줄이고 있다. 이렇게 하면 지하에 묻어야 할 최종 폐기물의 양을 5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반면 원전 역사 30년의 우리나라는 아직 사용후 핵연료 처분방안에 대한 공론화를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 이기주의를 우려해 공론화를 의도적으로 피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2008년 출범을 코앞에 둔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갑자기 해산시킨 뒤, 뚜렷한 이유 없이 3년 째 미뤄왔다. 여기에 후쿠시마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앞으로의 공론화 과정도 가시밭길을 예고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원자력발전의 또 다른 얼굴, 사용후 핵연료 포화 문제의 심각성을 짚어보고, 핵연료 관리방안을 고민해본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